나라 살린 선결제 열풍, 골목 상권도 살릴까?

변은샘 기자 iamsam@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집회 현장 새 문화로 자리매김
소비 불씨 되살리는 대안으로
부산시 19일 민생 대책서 논의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 재표결이 실시된 지난 14일 오후 부산 부산진구 서면의 한 카페에 선결제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 재표결이 실시된 지난 14일 오후 부산 부산진구 서면의 한 카페에 선결제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시민 집회의 새로운 문화로 등장한 선결제 열풍이 내수 침체 돌파구로 주목받고 있다. 전국 지자체가 탄핵 정국으로 얼어붙은 소비 불씨를 되살리기 위해 팔을 걷어붙인 가운데 부산시가 내수 진작 방안의 하나로 선결제 운동을 포함해 검토하고 있다.

오는 19일 부산시가 갖는 ‘긴급 민생안정 비상경제대책회의’는 최근 불안정성이 커진 민생경제를 되살리기 위한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지자체 주도로 선결제 운동을 진행하는 방안도 논의될 전망이다. 선결제 운동은 최근 탄핵 집회 때 집회에 참가하지 못한 시민들이 집회 장소 인근 식당이나 카페 등에 일정 금액을 결제한 후 집회 참가자들이 무료로 이용하게 하면서 크게 주목받았다. 이날 ‘촛불집회 가이드’ 사이트에 따르면 지난 3일 비상계엄 사태 이후 해당 사이트에 등록된 선결제 인원은 254명, 상품 건수는 2만 4533건에 달한다.

이번에 부산시가 논의할 선결제 운동 역시 비슷한 구조다. 기초지자체 등 공공기관에서 업무추진비로 일정 금액을 선결제한 뒤 가게를 방문해 이용함으로써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돕는 방식이다. 부산시 경제정책과 관계자는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내수 침체가 우려됨에 따라 시 차원의 선제적 대응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며 선결제 운동에 대한 논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선결제 운동에 참여하는 타 지자체들도 벌써 나오고 있다. 경기도 광명시가 16일 연말 모임 취소 등으로 매출이 급감한 지역 상권을 되살리기 위해 매식 또는 물품 구입 선결제 등으로 골목상권을 돕는 대책을 내놓기도 했다.

실제 이번 탄핵 정국으로 연말 모임과 예약이 잇따라 취소되면서 소상공인들은 막대한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소상공인연합회 박상희 과장은 “이번 사태로 기대했던 연말 대목이 사라진 소상공인은 피해가 막심하다”며 “선결제 등이 이뤄지면 미리 큰 매출이 보장되는 만큼 당장의 긴급한 상황을 해결하고 매출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자체의 선결제 운동이 처음은 아니다. 코로나19 사태 때도 부산시는 ‘우리동네 단골가게 선결제 대시민 캠페인’ ‘관광상품 선결제 사업’ 등을 진행했다. 당시 부산시와 부산시의회, 부산 기초지자체 등은 업무추진비 30%에 해당하는 37억 원가량을 선결제에 이용했다. 당시 공공기관 인근 식당, 카페 같은 소상공인 점포가 대상이었고, 대기업 관련 점포는 제외됐다.

인하대 이은희 소비자학과 교수는 “계엄 사태 여파로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시장이 불안정한 지금 같은 상황에서는 가능한 방법을 총동원해 시장에 돈을 돌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지자체 예산 조기 집행부터 소비자의 선결제 등은 자영업자 숨통을 틔우는 대책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변은샘 기자 iamsam@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