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시, 종합장사시설 후보지 재공모 나섰다
모집은 24일~2025년 3월 24일까지 91일간
주민동의서·마을회의록 포함한 신청서 제출
시, 타당성 검토 용역 거쳐 최종 후보지 선정
경남 양산시가 종합장사시설(화장장) 후보지 재모집에 나섰다. 올해 6월 공개 모집 결과 3곳의 후보지 모두에서 결격 사유가 발견되면서 후보지 선정이 무산됐기 때문이다.
양산시는 “지난 23일부터 2025년 3월 24일까지 91일간 종합장사시설 후보지를 재공개 모집한다”고 26일 밝혔다. 시는 6월 첫 번째 공개 모집 때와 마찬가지로 “후보지 신청의 경우 유치를 희망하는 마을 또는 법인이 주민등록상 거주 70% 이상 동의한 주민동의서와 마을회의록 등을 첨부한 유치신청서를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경유해 시청 노인장애인과에 제출하면 된다”고 덧붙였다.
주민동의서와 마을회의록 첨부는 주민 참여를 통한 자발적 유치경쟁에 의한 공정한 부지 선정을 위해서다.
시는 후보지를 대상으로 타당성 검토 용역을 거쳐 최종 후보지를 선정한다. 이후 시는 지방재정 투자사업 타당성 조사와 중기지방재정계획, 지방재정 투자심사, 공유재산 관리계획 등 행정절차를 거쳐 2026년에 착공, 2028년 말 완공한다.
시가 구상 중인 종합장사시설 화장로는 최대 8기다. 6기는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2기는 화장 수요가 늘어날 때 화장로만 설치하면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봉안당과 자연장지, 장례식장은 후보지가 선정된 뒤 논의를 통해 규모를 확정하기로 했다. 종합장사시설 전체 부지는 10만㎡이며, 이 중 가용면적이 6만㎡ 이상이다.
시는 또 종합장사시설 건립 방식을 원활한 예산 확보를 위해 시립화장장 건립은 물론 특수목적법인인 SPC를 포함한 민자 유치 등 모든 것을 열어 놓는다.
종합장사시설 건립 부지로 확정됐을 때 해당 마을과 인근 지역에 최대 150억 원 규모의 인센티브를 받는다.
앞서 시는 2022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사망자가 폭증했으나, 자체 화장시설이 없다 보니 시민들은 기존에 이용 중인 부산과 울산 지역 화장시설을 넘어 창원이나 남해, 진주까지 원정 화장을 하는 불편을 겪었다.
이 때문에 시는 같은 해 9월 종합장사시설 설치 조례와 기금 설치 조례를 각각 제정하고 이듬해 2월 추진위원회를 구성했다.
이후 시는 6월 후보지 공개 모집에 나서 마을 1곳과 법인 2곳 등 총 3곳이 신청을 했다. 그러나 심의 과정에서 3곳 모두에서 결격 사유가 발견됐다.
신청마을을 제외한 인근 지역에서 반대 민원이 불거지거나 도립공원 등 도시계획상 장사시설을 설치할 수 없는 지역을 제외하면 가용면적이 부족한 곳도 있었다. 신청일까지 주민 동의를 다 받지 못한 곳도 있으면서 재공개 모집에 나선 것이다.
시 관계자는 “6월 공개모집 과정에서 신청한 3곳에 대한 심사 결과 모두 부적격 판정을 받음에 따라 재공모에 나선 것”이라며 “봉안당이나 자연장지, 장례식장은 종합장사시설 건립 지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김태권 기자 ktg660@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