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말레이시아, K콘텐츠 호감도 높고 OTT 이용도 많아

민지형 기자 oasis@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방통위, 해외 OTT 시장·이용행태조사 결과 발표

태국 등 동남아 국가들은 1인당 평균 4개 이상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를 이용하고, K콘텐츠에 대한 호감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런 내용의 ‘2024년 해외 OTT 시장 조사 및 이용 행태 조사’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이용 행태 조사에는 사우디, 태국, 말레이시아, 호주 등 4개국에서 각 1600여 명 이상이 설문에 참여했다.

먼저 사우디에서는 1인당 평균 3.4개의 OTT 플랫폼을 이용하며, 가족과 함께 시청하는 비율(60.9%)과 K-OTT 이용 의향(70.1%)이 높아 이슬람의 문화·종교적 특성을 반영한 가족 소재의 K-OTT 콘텐츠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태국에서는 평균 4.4개의 OTT 플랫폼을 이용하며, 넷플릭스(88.0%), 트루아이디(60.5%)가 1위와 2위를 차지했다.

주로 스마트폰(54.3%)으로 OTT를 시청하며, K-OTT 이용 의향은 83.1%로 매우 높았다. 특히 해외 콘텐츠 시청 시 번역 품질을 중요하게 고려(90.7%)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말레이시아는 평균 4.2개의 OTT 플랫폼을 이용하며 넷플릭스(79.5%), 아이치이(39.7%), 아스트로 고(37.7%) 순서로 이용률이 높았다.

K-콘텐츠 이용률은 72.5%, K-OTT 이용 의향이 있는 응답자 비율은 61.9%였으며, 특히 자국 콘텐츠보다 스토리, 독창성, 연기력 등 주요 항목에 대해 K-콘텐츠를 우수하게 평가했다. 또한 월정액 구독형(69.3%)과 광고 기반 무료형(68.2%) 요금제를 비슷하게 이용하는 특징이 나타났다.

호주는 평균 4.6개의 OTT 플랫폼을 이용하며, 동영상 기준으로 봤을 때 자국 콘텐츠(92.9%)와 미국 콘텐츠(71.6%)에 대한 선호가 뚜렷하지만, K-영상 콘텐츠 이용률(16.6%)은 아직 낮았다.

또한 시청 기기로 TV 이용 비율(47.3%)이 가장 높아, 스마트폰(25.6%)이 주된 이용 기기인 다른 조사 대상국과 차별화된 특징이 나타났다.

방통위 박동주 방송기반국장은 “해외 진출을 고려하는 국내 OTT 사업자가 국가별 시장 현황과 이용 행태를 이해하는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민지형 기자 oasis@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