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두통 숨은 원인인 저작근 수축, 치과 치료로… [닥터큐 전문의를 만나다]

최혜규 기자 iwill@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덴타피아치과의원

저작근(씹는 근육) 수축 원인은 스트레스, 이갈이와 이 악물기, 부정교합, 잘못된 자세 등이 있다. 저작근(씹는 근육) 수축 원인은 스트레스, 이갈이와 이 악물기, 부정교합, 잘못된 자세 등이 있다.
김경진 원장 김경진 원장

현대인의 만성 두통 중 일부는 저작근(씹는 근육)의 과도한 수축이 원인일 수 있다. 저작근은 음식을 씹는 데 사용하는 근육으로, 교근(깨물근), 측두근, 내측익돌근, 외측익돌근으로 구성된다. 교근은 뺨 아래쪽에 손을 대고 이를 꽉 물면 불룩하게 만져지는 턱 근육이고, 측두근은 옆머리 쪽 관자뼈를 싸고 있는 부채 모양 근육이다.

덴타피아치과의원 김경진 원장은 “저작근이 과도하게 긴장하면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게 되어 통증 유발점(트리거 포인트)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머리, 얼굴, 턱과 목 부위에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저작근이 수축하는 원인으로는 스트레스, 이갈이와 이 악물기, 부정교합, 잘못된 자세, 치아 상실 등이 있다.

스트레스로 턱을 꽉 무는 습관이 생기거나 밤에 자면서 이갈이를 한다면 교근과 측두근에 무리가 간다. 잘못된 자세가 굳어져 목과 어깨에 불균형이 생겨도 저작근에 긴장이 유발될 수 있다. 이외에도 치아의 맞물림이 불균형하면 저작근에 과도한 부하가 걸린다.

저작근 수축으로 인한 두통은 일반적인 편두통과 증상이 유사하지만, 특정 부위에 압통이 발생하거나 턱 관절에서 ‘딸깍’ 소리가 날 수 있다. 또한, 목과 어깨의 뻐근함과 함께 두통이 한쪽에 집중되기도 한다.

저작근이 원인이 돼서 생기는 두통은 치과적 치료로 개선할 수 있다. 교합 조정, 스플린트 착용, 근이완 치료 등 다양한 치료법이 있다.

교합 조정은 보철물이나 교정 장치를 통해 치아의 맞물림을 조정해 턱 관절과 저작근의 균형을 맞추는 치료법이다.

스플린트(구강 장치)를 활용한 치료는 이갈이나 이 악물기 습관이 있을 때 선택한다. 입 안에 마우스피스처럼 생긴 투명한 장치를 착용해 이를 갈거나 악물 때 치아와 턱에 가해지는 압력을 고르게 분산시켜 저작근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

근이완 치료는 온열요법, 초음파 치료 등 물리치료를 통해 저작근의 피로를 해소하는 방법이다. 이밖에 턱 근육의 과도한 긴장을 줄이고 혈액 순환을 돕기 위해 보톡스를 주사하기도 한다.

저작근 통증으로 인한 두통을 예방하고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평소의 생활 습관도 중요하다.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사용할 때 고개를 앞으로 내미는 자세를 피하고, 목과 어깨를 곧게 해 바른 자세를 유지한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이를 꽉 물게 되는 만큼 명상이나 운동, 취미 생활 등으로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정신적 긴장을 완화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정기적인 치과 검진은 치아의 부정교합이나 보철물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된다.

덴타피아치과의원 김경진 원장은 “원인 모를 만성 두통이 지속되고 집중할 때 이를 악무는 습관이 있거나 이갈이를 한다면 치과 전문의의 상담을 받아 보는 것이 좋다”고 권했다.


최혜규 기자 iwil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