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산후도우미 양성시설 확충 시급

강대한 기자 kd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지원 신청 산모 3년 새 41%↑
시설 3곳 그쳐 인력 육성 난항
기존 도우미 보수교육도 ‘허덕’
업체 “다른 도시서 교육 받기도”

해당 신생아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부산일보DB 해당 신생아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부산일보DB

경남 창원의 산후도우미 교육시설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출생 인구가 타 시군에 비해 월등히 많은 데다 서비스 신청자도 해마다 큰 폭으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산후도우미들의 의무 교육을 위한 시설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일 창원시 등에 따르면 시는 출산 장려 사업의 일환으로 산모 가정에 산후도우미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산후도우미는 산모 영양 관리와 체조 지원, 신생아의 목욕·수유 지원을 포함해 식사 준비, 집안 세탁물·청소 등 가사를 도맡는다. 신청자 소득 기준과 파견 기간 등에 따라 지원금은 차등 지급된다.

산후도우미 신청자 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연도별로 보면 2021년 2309명, 2022년 2790명, 2023년 3234명, 지난해 12월 중순까지 3296명으로 나타났다. 최근 3년 사이 42% 이상 폭증한 셈이다. 여기에 올해부터는 신청 대상에 ‘소득 기준’이 사라지는 등 신청 기준이 완화되면서 신청자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신청자 급증에 따라 전문적인 지원을 위한 산후도우미 교육시설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해까지 창원에서 산후도우미를 양성·교육하는 시설은 2곳에 불과했다. 도내 인구 30% 정도가 밀집돼 산후도우미 수요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1~11월 출생아 수가 창원(4123명)에 비해 3분의 1 규모인 진주(1566명)에도 교육 시설이 2곳이다.

이에 경남도가 최근 창원과 김해, 양산, 사천 등 4개 지자체에 교육시설을 1개씩 늘렸다. 경남 전체 산후도우미 교육시설도 7곳에서 11곳으로 늘었지만 여전히 갈 길이 멀다는 평가다. 경남(323만 명)에 비해 인구가 70만 명이 적은 경북(253만 명)의 교육시설은 19곳이다.

교육시설이 1곳 늘어도 창원 지역 산후도우미 수요를 감당하기엔 여전히 역부족이다. 산후도우미들은 서비스 질 유지·향상을 위해 신규교육을 수료하면, 이듬해부터 매해 보수교육을 의무적으로 받아야 한다.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시스템’에 집계된 창원 내 산후도우미는 총 554명이다. 또 작년 기준 신규 수료자가 470명으로 확인된다. 올해 산후도우미 누적 인원은 1000명이 넘는 셈이다.

지난해 창원의 교육시설 2곳 중 1곳은 200여 명, 나머지 1곳은 170여 명을 대상으로 보수교육을 실시했다. 올해 추가된 교육시설에서 100여 명이 교육한다고 해도 여전히 절반가량은 창원에서 교육을 받기 힘들다.

도는 일단 교육시설 수요를 살핀 뒤 추가 지정을 논의하겠다는 입장이다. 도 관계자는 “교육시설을 무작정 늘리면 서비스의 질이 떨어지는 점과 도내 각 지역 안배도 생각해 추가 지역과 그 개수를 결정한 것”이라며 “산후도우미가 고정 출근이 아닌 신청에 따라 유동적으로 업무를 배정받기 때문에 누수 인력이 많은 점도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상반기 동안 교육 수요 현황을 검토해 하반기 중 추가 지정이 필요한지 논의할 예정”이라고 했다.

하지만 업계 관계자들 사이에선 ‘출산 장려 정책’에 발맞춰 보다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창원의 한 업계 관계자는 “작년에 교육시설에서 보수교육을 각각 2차례, 1차례 몰아서 실시하면서 인원이 한정돼 신청도 쉽지 않았다”면서 “일부 직원은 김해 등 다른 곳으로 보내 겨우 교육을 받게 한 적도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12월 출산한 한 산모(30대)는 “산후도우미 서비스를 받고 있는데 아이를 돌보는 과정에 세대 차이를 느껴 두 차례 교체했다. 그러니 ‘산모가 예민하다’는 말이 돌아와 기분이 좋지 않았다”며 “새로 산 육아 도구를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분을 바꿔 달라고 한 제가 예민한 거냐, 더욱 체계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느꼈다”고 털어놨다.


강대한 기자 kd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