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최적의 배선 절감 솔루션 개발, 세계 시장 표준 도전” 배광호 삼원액트 대표

윤여진 기자 onlypen@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수입 의존 제품 자체 브랜드로 국산화
엔지니어 중심 수평적인 의사 결정
품질 CS 관리·FA 산업 자동화 기여
부산시 전력사업 선도기업 등 선정

“삼원액트만의 노하우와 역량을 바탕으로 최적의 배선 절감 솔루션을 개발해 세계 시장의 표준 제품이 될 수 있도록 더욱 정진하겠습니다.”

삼원액트(주) 배광호 대표이사는 어려운 시기를 기회로 삼을 것이라고 각오를 다졌다. 배 대표가 삼원액트를 세운 것도 “IMF(국제통화기금) 위기를 기회로 삼자”는 데서 출발했다. 배 대표를 포함해 직원 3명으로 출발한 삼원액트는 올해로 창립 25주년을 맞으며 순항 중이다. 경사도 잇따랐다. 배 대표는 지난달 26일 부산시 중소기업인 대상을 수상했다.

앞서 2023년 말에는 부산상공회의소 부산산업대상 경영 부문을 수상하는 등 2년 연속 지역 주요 기관에서 주는 상을 수상했다. 배 대표는 “이번 수상은 지난 시간 임직원들과 함께한 노력이 결실을 맺은 결과이자 앞으로 더 큰 도약을 향한 발판이라고 생각한다”며 임직원들에게 수상의 공을 돌렸다.

삼원액트는 국내 주요 산업인 반도체를 비롯해 자동차, 이차전지, 디스플레이 등의 자동화 생산설비에 필요한 전장 배선부품을 생산 및 공급하는 업체다.

I/O 배선 절감 시스템 ‘IOLINK’, 리모트 I/O 터미널 ‘IONET’, 액츄에이터 접속 솔루션 ‘QPORT’, FA용 하네스·서보 접속용 케이블 ‘FA 케이블 하네스’, 클린룸 전용 가동 케이블 시스템 ‘Ecoflex’ 등 삼원액트의 모든 제품군들이 자체 브랜드로 구성돼 있다.

그동안 수입에 의존해오던 제품을 자체 브랜드로 개발, 국산화하는 데 성공하면서 급성장한 것이다.

배 대표에 따르면 자동화 설비에 쓰이는 하이테크 배선은 20여 년 전만 해도 대부분 수입품이었다. 대기업이 뛰어들기엔 시장이 그리 크지 않고 중소기업이 생산하기엔 투자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탓에 글로벌 해외 기업 생산품이 주를 이뤘다.

배 대표는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장비 유지 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제품을 만들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 틈새시장을 파고들었다.

배 대표는 “수입품 위주의 제품을 국산화하는 데 성공하면 국위 선양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배 대표의 예상은 적중했다. 고객사 요구에 맞는 제품들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면서 최적의 FA 배선 절감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이름이 났다.

삼원액트의 자체 브랜드는 대기업은 물론 중소·중견 기업에 두루 쓰이게 됐다. 배 대표는 “현장 경험이 많은 엔지니어들을 중심으로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제품을 만들다보니 제품을 내놓을 때마다 히트를 쳤다”고 밝혔다.

이 같은 성과는 삼원액트의 수평적인 소통 문화가 큰 영향을 미쳤다. 엔지니어 등 직원들간 수평적인 의사 결정은 직원들이 보다 적극적이고 창의적으로 업무에 임할 수 있도록 해 매년 다양한 신제품을 개발 할 수 있게 하는 원동력이 됐다.

배 대표는 “엔지니어 중심의 수평적인 의사결정 덕분에 퇴사율이 제로에 가깝다”고 웃음지었다.

고객을 우선으로 두되 둘째는 직원이라는 마음가짐으로 정부가 추진하는 노동 복지 관련 정책을 적극 수행하며 노사 무분규를 실현하고 있는 배 대표는 ESG 활동 경영을 비롯해 사회 공헌 활동, 지역 인력 우선 채용 등 지역사회와도 적극 협력하고 있다. 이뿐만 아니다. 제품 개발를 비롯해 품질 CS 관리 등 FA 산업 자동화에도 큰 기여를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 같은 공로를 인정받아 부산시 전력산업 선도기업(2024), 가족친화인증기업(2023), 글로벌 강소기업(2022), 수출유망중소기업(2022) 등에 선정되기도 했다.

세계적인 FA 산업 자동화 시장 진출을 위해 노력 중인 배 대표는 신제품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업 부설 연구소도 별도로 마련해 끊임없이 신제품을 개발하면서 보유 중인 제품의 범위를 넓히고자 하는 배 대표는 “대내외적으로 힘든 상황이지만 제품 개발에 앞장서면서 중소기업 발전에 기여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 모델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여진 기자 onlypen@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