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100만 붕괴 창원, 특례시도 위태
작년 말 기준 99만 9858명까지 줄어
외국인 2만 보태 특례시 기준 턱걸이
2027년께 이마저 힘들어질 가능성
비수도권 유일 특례시인 경남 창원시 주민등록인구(내국인)가 14년 만에 100만 명 아래로 떨어졌다.
6일 시에 따르면 창원의 주민등록인구는 지난해 말 기준 99만 9858명으로 집계됐다. 전년도 100만 9038명보다 9180명, 약 1%가 줄었다. 시 인구가 100만 명을 하회한 것은 2010년 옛 마산시·창원시·진해시 통합 이후 14년 만에 처음이다. 창원은 통합 당시 인구수 108만 1808명을 보이다가 2012년 109만 2554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계속해서 내리막을 걸었다.
창원시는 2022년 인구 100만 명 이상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출범한 ‘특례시’에 지정됐다. 특례시는 기초지자체이지만 광역시에 준하는 행·재정적 권한을 부여받는 지방행정체계를 말한다. 비수도권에서는 창원이 유일하다.
인구수가 100만 명 아래로 내려오면 특례시 지위도 놓게 된다. 유예기간은 2년이다. 다만 특례시 인구엔 외국인까지 포함하고 있어 당분간은 문제가 없다. 현재 창원의 외국인 수는 2만 1336명이다. 작년 1만 9846명보다 소폭 올랐지만 내국인 감소 폭이 워낙 커 외국인을 고려하더라도 2027년께면 100만 명 이하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시는 청년(19~39세) 유출이 지역 인구 감소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본다. 창원 청년 인구는 최근 10년간 27.6% 줄어든 것으로 확인된다.
시는 우선 단기적으로 청년 지원 정책을 가동해 청년을 창원에 붙들고, 장기적으로는 사회 경제 구조를 전환해 청년이 찾는 도시로 탈바꿈하겠다는 복안이다. 우선 청년 유인책은 창원으로 전입한 대학(원)생에게 매월 6만 원씩 3년간 지급하는 생활안정자금과 창원 내 고등학교 졸업 후 대학까지 진학하면 100만 원을 주는 새내기지원금, 신혼부부 주택·전세 마련 이자 지원 등이 있다. 궁극적으론 미래 세대 일자리와 문화 시설 등을 확대해 도시 매력을 한층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그간 수도권으로 전출하는 청년들이 많았는데, 비싼 집값이나 과도한 경쟁 등을 이유로 지역에 유턴하는 기류도 최근 나타나고 있다”면서 “2~3년이 지나면 인구 회복세를 되찾아 활기가 돌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강대한 기자 kdh@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