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의정 보고회·행사 '패싱'… 탄핵 정국에 부산 정치권 일정 올 스톱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진보 진영 연일 공세 수위 높여
다수당 국힘 방어적 태도 일관
내년 지선 출마 예상자들 ‘답답’

부산시의회. 부산일보DB 부산시의회. 부산일보DB

을사년 새해를 맞았지만 부산 정치권에서는 신년 분위기를 느끼기 힘들다. 탄핵 정국을 맞이한 올해는 연례적으로 진행하던 의정 보고회를 열지 않고 있고, 신년 행사에도 의원들이 참석하지 않고 있다.

8일 지역 정가에 따르면, 여야를 막론하고 매년 1월 전후로 진행해 온 의원들의 의정 보고회가 자연스레 취소되는 분위기다. 또한 의원들이 지역구 새해 행사를 찾아 신년 인사를 하던 것들도 자제하고 있는 모습이다. 의원들과 보좌진 등은 쏟아지는 뉴스에 집중하며 연일 비상 대기하는 게 일상이 됐다. 사실상 부산 정치권 일정이 모두 멈춘 상태다.

이는 부산의 정치 지형과 무관치 않다. 부산은 18석 가운데 국민의힘이 17석으로 보수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과 국회 탄핵소추안 가결 등을 거치며 지역 진보 진영에서는 이들을 향한 공세 수위를 연일 높이고 있다.

특히나 의원들과 의원실이 이처럼 방어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은 지난달 28일 부산 남구 대연동 국민의힘 박수영 부산시당위원장의 지역 사무실에 윤 대통령 탄핵을 촉구하는 이들이 대거 몰려 점거하고 외부에서는 약 9시간 동안 항의 농성을 펼쳐진 영향이 크다. 당시 박 시당위원장 지역 사무실에서 민원인 만남 행사가 진행되던 중 스스로를 ‘민원인’ ‘시민’이라고 주장하는 이들이 사무실을 찾아 “내란 사태에 입장을 밝히라”고 주장하며 연좌 농성을 벌였고, ‘윤석열 구속 파면 부산 시민대회’ 참가자들도 대연동으로 몰려들면서 일대는 마비됐다.

한 부산 국민의힘 의원 지역 사무실 관계자는 “박 시당위원장 지역 사무실 점거 사태를 지켜본 만큼 의정 보고회나 지역 행사에 참석하는 것은 언감생심이다”며 “일부 진보 시민단체에서 항의 집회를 매주 예고하고 있는 만큼 주말마다 진행한 민원인의 날 행사도 계속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2026년 지방선거 출마를 저울질 중인 인사들도 마찬가지 상황이다. 지방선거 출마자들 특성상 인지도가 낮은 만큼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뛰어야 하지만 그러지 못하기 때문이다. 내년 지방선거 도전 의지를 굳힌 한 인사는 “SNS를 통해 소극적으로 홍보하는 정도에 그쳐 답답한 상황이다”고 말했다.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