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많은 부산진구 ‘청년 친화도시’ 박차

이우영 기자 verdad@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5개년 계획 수립 용역 곧 발주
심층 인터뷰 등 통해 정책 개발

부산진구청 건물 전경. 부산진구청 건물 전경.

부산에서 20~30대 청년층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부산진구가 2030년까지 실행할 청년 정책 마련에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부산진구청은 이달부터 올해 8월까지 ‘제2차 부산진구 청년 정책 기본 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용역을 맡길 예정이라고 3일 밝혔다. 청년 실태와 생태계 등을 조사해 지역 특성에 맞는 정책을 발굴하고, 청년이 공감할 수 있는 청년친화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목적이다. 부산진구는 2200만 원을 투입해 용역을 실시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는 2026년부터 2030년까지 5년 동안 실행할 청년 정책을 만들기 위한 과정이다. 올해 부산진구 전역에 거주하는 18~39세 청년을 상대로 설문 조사, 심층 인터뷰, 원탁회의 등을 진행하기로 했다. 국내외 청년 우수 정책을 찾으면서 필요한 분야와 관련한 수요를 조사하고, 소득·주거·문화·정신 건강 등 청년 실태에 대한 기본 현황도 파악할 계획이다.

청년 정책 기본 계획은 일자리·창업, 주거·금융, 교육, 문화·복지, 참여·권리 등 5개 분야가 중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역 특성을 활용해 창업과 취업 관련 정책 도입과 청년 활동 공간 연계에도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

부산진구는 부산 16개 구·군 중 청년 인구가 가장 많은 기초지자체인 점 등을 고려해 새로운 5개년 정책 마련에 나섰다. 부산진구청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18~39세 인구는 남성 5만 1193명, 여성 5만 3016명으로 총 10만 4209명으로 파악됐다. 부산진구 전체 인구 35만 9281명 중 29%를 차지하는 수치다. 동별로는 전포1동 8699명, 전포2동 7404명, 부전1동 6438명 순으로 청년 인구가 많았다.

부산진구청 일자리산업과 관계자는 “청년 문제는 개인을 넘어 지역 사회가 같이 고민하고 해결해야 한다”며 “지역 청년 특성과 여건을 반영한 장기적이고 구체적인 정책 목표를 설정하고, 실효성 있는 정책을 발굴하려면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조사 연구를 통해 청년 목소리를 5개년 계획에 반영하고, 부산진구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정책을 찾아 청년친화도시로 도약하려 한다”고 말했다.


이우영 기자 verdad@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