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소비 촉진운동 ‘효과’ 지난해 부산 쌀 재고 다 털었다

서유리 기자 yool@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지역 농협 전사적 운동
아침밥 먹기 등 캠페인 주효
예산 투입만으론 한계 지적
“식량 스와프·식품 개발 필요”

부산지역 농협이 지난해 쌀 소비촉진 운동을 꾸준히 펼친 결과 2023년산 재고를 모두 소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농협이 지난해 8월 부산시청 1층에서 진행한 ‘아침밥 먹기 캠페인’. 농협중앙회 부산본부 제공 부산지역 농협이 지난해 쌀 소비촉진 운동을 꾸준히 펼친 결과 2023년산 재고를 모두 소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농협이 지난해 8월 부산시청 1층에서 진행한 ‘아침밥 먹기 캠페인’. 농협중앙회 부산본부 제공

부산지역 농협이 지난해부터 꾸준히 이어가고 있는 쌀 소비촉진 운동 결과 2023년산 재고를 모두 소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침밥 먹기 운동’ 캠페인과 적극적인 업무협약 등이 효과를 거둔 것인데, 예산을 쏟아 붓는 캠페인만으로는 근본적 문제 해결이 어려운 만큼 더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9일 농협중앙회 부산본부에 따르면, 부산농협은 지난해부터 ‘쌀 소비촉진 운동’ 일환으로 지자체, 공공기관, 학교, 기업체 등 61곳과 업무협약을 맺었으며, ‘아침밥 먹기’ 등 74건의 캠페인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부산지역에서 생산한 쌀인 ‘가락쌀’ 55.6t을 공급했다.

부산농협은 쌀 소비 촉진을 위해 지역 내 농축협과 계열사인 하나로마트 매장에서 20kg 1포당 3000원 할인 판매 등의 행사를 실시하기도 했다. 각종 행사와 고객 사은품 증정 시 가락쌀 1kg 소포장을 활용하는 등의 방식을 통해 소비를 촉진하기도 했다. 지역사회공헌 활동에도 가락쌀을 기부하는 등의 방식을 통해 쌀 소비에 앞장섰다.

그 결과 지난해 10월 기준 부산 유일의 미곡종합처리장(RPC)인 가락RPC에 쌓여있던 재고 2400t을 전량 소진했다. 또 쌀 소비촉진 운동의 결과로 학교급식, 기관·단체 구내식당을 중심으로 판매량이 증가해 안정적인 매출처를 확보한 효과도 거뒀다.

부산농협은 앞으로도 쌀 소비촉진 운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지난해 11월 말 농가로부터 수매한 쌀을 올 연말 전까지 소비해야하는 만큼, 지속적인 쌀 소비가 필요한 시점이기 때문이다.

농협의 쌀 소비촉진 운동은 전국적인 단위로 실시됐다. 쌀 소비량이 줄어들면서 쌀값 불안정이 지속되는 만큼, 지난해 7월부터 1000억 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해 ‘범국민 쌀 소비 촉진 운동’을 펼쳤다. 코로나19 이전 국민 1인당 연간 쌀 소비량 60kg을 회복하는 것이 목표다. 농협에 따르면, 국민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2018년 약 61kg이었으나, 2023년 기준 56.4kg까지 떨어졌다.

쌀 소비촉진 운동을 통해 소비량이 일부 회복되긴 했으나, 예산을 쏟아붓는 캠페인만으로는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특히 쌀값 불안정의 문제는 소비량이 줄어드는 데 반해 공급량이 많은 구조적 공급과잉에서 발생하는 만큼, 공급량 조절이 함께 동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도 최근 쌀 생산을 줄이기 위해 벼 재배면적을 조정하는 세부 전략을 공개하기도 했다. 벼가 아닌 다른 작물로 농사를 전환한 농가를 지원하도록 전략작물 직불금 예산을 인상하는 내용 등이 담겼다.

전문가들은 공급량 조절과 함께 다른 나라와 곡물을 교환하거나 쌀을 활용한 가공식품 개발 등의 대책도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부산대 식품자원경제학과 정원호 교수는 “우리나라는 쌀이 남는 데 반해 밀이나 콩은 부족하지만, 반대로 쌀이 부족하고 밀이나 콩이 풍부한 나라도 있다. 이런 나라와 곡물을 교환하는 ‘식량 스와프’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면서 “소비 쪽에서도 홍보 촉진만으로는 부족하고, 쌀을 활용한 동물사료를 개발하거나 또는 쌀밥 소비를 줄인 MZ세대도 잘 먹을 수 있는 가공식품을 적극적으로 개발하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서유리 기자 yoo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