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전쟁 타결 조짐 안 보이는 美-中
중국도 오늘부터 보복 관세
대화로 해결 장담하던 트럼프
“서두를 것 없다”며 입장 바꿔
상호 관세 거론하며 확전 양상
중국이 10일(현지 시간)부터 미국에 대해 보복 관세를 부과할 계획인 가운데 ‘미중 무역전쟁’ 2라운드의 타결 조짐은 감지되지 않고 있다.
9일 중국과 미국 현지 매체에 따르면 중국은 10일부터 일부 미국산 수입품에 10∼15% 추가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라고 지난 4일 발표했다. 미국산 석탄 및 LNG에는 15% 관세, 원유, 농기계, 대형 자동차와 픽업트럭에는 10% 관세를 더 물리겠다는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마약성 진통제 펜타닐 문제에 대한 중국의 대응 부족 등을 이유로 지난 4일 오전 0시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10% 추가 관세를 강행하자 약 1분 만에 나온 맞대응 조치였다.
중국은 같은 날 구글 반독점법 위반 혐의 조사와 텅스텐 및 텔루륨 등 광물 수출 통제, 패션 기업 PVH 그룹과 생명공학 업체 일루미나 제재 같은 다른 다수 보복 조치도 함께 꺼내 들었다.
다만, 중국이 내놓은 대미 보복 조치들은 종류만 많았을 뿐 대미 타격 측면에서는 강도가 높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 이 때문에 중국의 보복 관세 개시 전 미중 양국이 협상을 통해 합의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있었다.
트럼프 대통령도 미국의 대미 관세 부과 전인 지난 3일 오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아마 24시간 내로 대화할 것”이라고 밝혀 톱다운(하향식) 방식에 의한 타결 기대감을 키웠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하루 만에 시 주석과 통화를 “서두르지 않겠다”면서 “적절할 때 이뤄질 것”이라며 한발 물러서는 모습을 보여 합의 조건을 찾는 것이 쉽지 않음을 시사했다.
중국과 달리 동맹국인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관세를 한 달간 유예한 트럼프 대통령은 10일께 다수 국가를 상대로 ‘상호 관세’를 예고해 오히려 관세전쟁의 전선을 확대하려는 모습을 보인다. 상호 관세는 미국이 수입품에 부과하는 관세를 다른 국가가 미국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 수준에 맞춰 인상하는 조치다.
시 주석이 트럼프 대통령과 서둘러 통화하는 것을 꺼리고 있다는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의 분석도 지난 6일 나왔다.
기업 경영자 마인드로 움직이는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문제에 대해 단기간 내 합의를 이루기를 바라고 있지만 중국은 그렇지 않다는 의미다. 시 주석을 비롯한 중국 지도부는 세부 의제를 먼저 정리하지 않고 고위급 통화를 진행하는 데 신중을 기하고 있다.
권상국 기자 ksk@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