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해수청, '외국적 선박' 강력한 점검 예고

김백상 기자 k103@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항만국통제 18척 늘린 550척
선박 전체 점검 비율도 확대
안전 확보와 환경 보호 차원

부산해수청 직원들이 선박과 해양시설 점검을 벌이고 있다. 부산해수청은 외국적 선박에 대한 ‘항만국통제’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부산일보DB 부산해수청 직원들이 선박과 해양시설 점검을 벌이고 있다. 부산해수청은 외국적 선박에 대한 ‘항만국통제’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부산일보DB

부산항에 입항하는 외국적 선박에 대한 ‘항만국통제’가 강화된다. 해상 안전 확보와 해양 환경 보호를 위한 조처이다.

부산지방해양수산청은 올해 외국적 선박 550척을 대상으로 항만국통제를 추진한다고 11일 밝혔다. 지난해 점검 척수인 532척보다 18척 늘어난 규모로, 최근 5년 점검 목표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항만국통제는 자국 항만에 입항하는 외국적 선박의 구조·설비·선원 자격 등에 대한 국제 협약 준수 여부를 확인하는 제도다. 이를 통해 연안의 해상 안전을 확보하고, 주변 환경 유해 요소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부산해수청은 실효성 있는 점검을 실시하기 위해 전체 점검 목표 중에서 ‘초기 점검’ 비율을 80%까지 높이기로 했다. 초기 점검은 증서·서류 점검을 비롯해 선박구조설비 전반에 대해 상세히 살피는 절차다. 기존의 식별된 결함을 확인하는 ‘확인 점검’에 비해 더욱 강화되고 엄격하게 진행되는 점검 방식이다.

연도별 초기 점검 척수는 2020년 476척(63.9%), 2021년 462척(74.9%), 2022년 415척(61.2%), 2023년 542척(53.5%), 2024년 532척(65.2%)을 기록했다.

환경 분야에 대해서도 집중 점검이 이뤄진다. 선박연료유 분석이나 서류점검을 통해 연료유 황 함유량 기준(0.1% 이하) 준수 여부를 확인할 계획이다.

지난해 부산해양청은 532척의 외국적선을 항만국통제로 점검해, 438척에 대해 결함을 지적하고 시정조치를 요구했다. 13척은 화물창·연료유 탱크 등에서 중대한 결함을 발견하고 출항 정지 처분하기도 했다.

부산해수청 안희영 선원해사안전과장은 “부산항에 입항하는 외국선박을 대상으로 지속해서 점검을 실시해 부산항을 안전하고 깨끗한 항만으로 지켜나가겠다”고 밝혔다.


김백상 기자 k103@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