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해신항 예정 지역 현안 해결을” 경남도, 해수부에 요청

김길수 기자 kks66@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항만공사 명칭 및 위원 추천권 정상화 요청
입주기업 지원 위해 비즈니스센터 예산 건의




13일 경남도청에서 개최된 해수부 항만국장과의 면담. 경남도 제공 13일 경남도청에서 개최된 해수부 항만국장과의 면담. 경남도 제공

경남도는 진해신항 착공을 앞두고 지역·국가전략사업 선정을 통한 항만배후부지 개발, 비즈니스센터 예산 반영, 항만공사 명칭 정상화·항만위원 동수 추천 등을 해양수산부에 건의했다고 13일 밝혔다.

해양수산부는 오는 3월께 공사를 시작해 2045년까지 14조 원을 들여 기존 부산항 신항 옆 창원시 진해구에 3만 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급 선박 접안시설, 대규모 항만배후단지를 갖춘 진해신항(부산항 제2신항)을 건설한다.

도는 지난해 5월 그린벨트 해제를 통해 진해신항 항만배후부지 698만㎡를 개발하는 계획을 지역·국가전략사업으로 정부에 신청했다.

박명균 경남도 행정부지사는 이날 도청을 찾은 남재헌 해양수산부 항만국장에게 진해신항 착공에 맞춰 진해신항 여러 현안을 매듭지어달라고 요청했다. 박 부지사는 진해신항이 메가포트가 되려면 부족한 진해신항 항만배후단지 부지를 적기에 확보해야 하며 착공을 앞두고 지역전략사업으로 꼭 선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부지사는 또 2040년 기준, 부산항 신항·진해신항 59개 선석 중 경남이 36선석(61%), 부산이 23선석(39%)을 점하게 된다며 진해신항 착공 전 두 항만을 운영하는 부산항만공사 명칭을 부산경남항만공사로 변경하고 부산과 경남이 부산항만공사 항만위원 수를 동일하게 추천해야 하는 당위성을 설명했다.

경남도는 이날 내년 정부 예산안에 신항 비즈니스센터 설계비 반영, 진해신항∼진례 고속도로 신설, 어업 피해 영향이 미치는 시군까지 신항 예정지역 지원사업 확대 등도 요청했다.

박 부지사는 “해운항만 산업의 기반이 되는 스마트 메가포트는 국가 경쟁력 확보와 지방균형발전을 위해 경남도가 중심이 되고 정부와 협력하는 다양한 방안이 필요하다”면서 “경남의 현안 사업이 진해신항 착공 전 지원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길수 기자 kks66@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