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내 고성능 GPU 1만장 확보…국가AI컴퓨팅센터 서비스 시작
AI컴퓨팅 인프라 특별위원회 개최
국내 보유 2000여장 크게 부족해
내년 상반기까지 1.8만장으로 확대
정부가 연내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1만장을 확보해 국가 인공지능(AI)컴퓨팅센터 서비스를 시작하고 내년 상반기까지는 고성능 GPU 총 1만 8000장을 확보하기로 했다.
정부는 17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이 참석한 가운데 ‘제3차 AI컴퓨팅 인프라 특별위원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특위는 국가 AI컴퓨팅 센터 등 정부에서 추진 중인 AI컴퓨팅 인프라 현안을 민관이 함께 논의하고 대응방안을 찾기 위해 구성됐다.
미국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프랑스 AI 데이터 센터 구축 계획에서 보듯 최근 AI컴퓨팅 인프라 역량은 나라의 AI 생태계 경쟁력을 결정짓는 척도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가 가진 고성능 GPU는 2023년 기준 총 2000여장 정도로 턱없이 부족한 형편이다.
그런데 AI컴퓨팅 인프라는 적정 투자 규모를 미리 예측하기 어렵고 기술·시장의 변화가 빠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앞으로 특위에서 수시로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현안에 유연하게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 대행은 이 자리에서 “최근 AI산업 패권 경쟁이 가열되고 있다. 딥시크 사례는 자본·인프라가 다소 부족해도 성능에서 넘어설 수 있다는 기회를 보여준다”고 말했다. 최 대행은 “첨단 컴퓨팅 인프라는 AI 경쟁력의 핵심으로 국가 AI컴퓨팅 센터의 성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주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의 입지를 모색하고 전력 수급 문제도 사전에 면밀히 짚어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 대행은 “이를 위해 연내 고성능 GPU 1만장을 확보해 국가 AI컴퓨팅 센터 서비스를 조기 개시하겠다”며 “내년 상반기에는 GPU 8000장 상당의 슈퍼컴 6호기를 구축해 연구계를 중점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내년 상반기까지 고성능 GPU 1만 8000장 분 AI컴퓨팅 파워를 확충해 기업과 연구계를 뒷받침하겠다는 설명이다.
최 대행은 “과거 브로드밴드(광대역통신망)을 구축해 우리나라가 정보통신(IT) 강국으로 부상했듯 AI 컴퓨팅 인프라를 기반으로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