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2서경호 선체 수색 위한 잠수업체 선정 막바지
부산에 있는 잠수업체 2곳 최종 후보로 정해져
2곳 다 잠수 역량 충분, 1곳은 금성호 수색 참여
전남 여수 해상에서 침몰한 부산 선적 트롤어선 제22서경호(부산일보 2025년 2월 10일 자 1면 보도 등) 관련 실종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선체 내부 수색을 위해서 잠수 업체 2곳이 선정됐다.
전라남도청은 제22서경호 내부 수색을 위한 잠수 업체 계약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19일 밝혔다. 부산의 잠수 업체 2곳이 최종 후보로 선정됐다.
해당 업체들은 제22서경호가 가라앉아 있는 수심 82.8m까지 잠수할 역량을 갖췄다는 평을 받는다. 특히 한 곳은 제주 해상에서 침몰한 금성호 내부 수색에도 투입된 경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잠수 업체 계약은 다음 주 내로 마무리될 전망이다. 대략 한 달 동안 잠수 업체를 고용하는 것으로, 계약 규모는 10억 원이다. 이는 전남도청이 전액 부담하기로 했다. 다만 부산에서 사고 해역까지 이동하는 시간과 잠수 장비를 준비하는 시간까지 고려하면 실제 잠수하는 기간은 20일 미만으로 추정된다는 게 전남도청 관계자 설명이다.
전남도청 측은 실종자 가족과 수색 시기에 대해 이견을 조율하는 대로 업체 측과 계약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전라남도청 친환경수산과 관계자는 “실종자 가족은 최대한 빠르게 잠수부 투입을 요청하고 있고, 전남도청은 기상 등을 고려해 계약 기간 내 최대한 잠수가 많이 이뤄지는 시기를 검토하는 중”이라며 “오늘 업체를 최종 선정하고서 다음 주 중으로 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사고와 관련해 유가족과 실종자 가족들은 남은 실종자를 찾기 위한 부산시의 적극적 지원을 요청했다. 이들은 “부산시가 사고 발생 지역이 아니라는 이유로 실종자 수색에 별다른 지원을 하지 않고 있다”며 “모든 실종자 가족이 여수에 머물 수 없기에 부산에서도 수색 상황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장소나 체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부산시가 잠수 업체 의뢰 비용 일부를 부담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앞서 전남도청은 10억 원의 절반인 5억 원에 대해 부산시가 부담할 것을 요청했으나 시는 이를 거절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사고 선사가 일체 비용을 부담하는 게 원칙”이라며 “또한 여수 선적 선박이 부산 해상에서 침몰하면 반대로 부산시가 부대 비용을 부담할 수도 있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날 기준 사고 선박 승선원 14명 가운데 5명은 숨지고, 5명은 실종됐으며 4명은 생존했다. 침몰 당시 선박에 선원 3명이 있었다는 증언을 토대로 선체 내부 수색이 이뤄지고 있다.
김준현 기자 joon@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