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53사단 그린벨트 해제 첨단산업 육성 디딤돌 돼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하이테크·AI 등 신산업 산단 조성 계획
부대 재배치와 사업 목적 준수가 관건

부산 해운대구 해운대그린시티(옛 해운대 신도시) 아파트 단지 전경. 정종회 기자 jjh@ 부산 해운대구 해운대그린시티(옛 해운대 신도시) 아파트 단지 전경. 정종회 기자 jjh@

부산 해운대구 53사단 일원에 신산업 중심의 ‘첨단사이언스파크’가 조성될 예정이어서 지역민은 물론 부산 시민들의 기대감을 높인다. 사이언스파크 조성사업을 통해 경기도 성남시 판교테크노밸리 같은 첨단 산업단지가 가동될 경우 날로 침체하는 부산 경제가 재도약하는 데 커다란 활력소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사업은 최근 열린 국무회의에서 비수도권 국가·지역전략사업지 15곳 중 한 곳으로 선정됐다. 또 사이언스파크 조성을 위해 53사단을 포함한 3.8㎢ 면적의 사업 부지와 겹치는 3.6㎢의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가 해제된다. 사업이 계획대로 차질 없이 이뤄져 부산이 첨단산업으로 활기를 띠는 도시로 탈바꿈하는 디딤돌이 되기를 바란다.

이번에 사이언스파크 조성이 지역전략사업으로 선정돼 추진이 가능하게 된 것은 53사단 재배치 문제가 해결되어서다. 해운대 그린시티(신시가지)와 맞닿은 53사단은 지역 발전에 걸림돌로 작용한다는 이유로 군부대 이전이나 재배치를 요구하는 시민들에게 20년에 걸친 숙원이었다. 이 때문에 부산시와 국방부가 오랜 논의 끝에 53사단을 현재 부지 안에 압축·재배치하는 것으로 합의하면서 사이언스파크 조성과 그린벨트 해제에 이른 것이다. 시는 사이언스파크 조성사업의 본격화를 위해 내년까지 국방부와 구체적인 실무 협의와 업무 협약을 완료한 뒤 2027년 이후 부지 조성에 들어갈 방침이라고 한다.

첨단사이언스파크 조성이 성공해야 하는 이유는 차고도 넘친다. 부산의 산업구조가 쇠퇴한 전통 제조업과 경기에 민감한 서비스업 중심에서 벗어나지 못하면서 지역 경제의 침체 상황은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지역 인재와 청년층이 보수가 높거나 질 좋은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 등지로 떠나는 이유다. 이로 인한 인구 감소로 지역소멸마저 우려되는 위기에서 첨단산업 육성이 돌파구가 돼야 한다. 따라서 시가 사이언스파크에 국방 연구개발, 하이테크, AI(인공지능) 등 신산업 기업을 유치하려는 계획은 고무적이다. 일자리 창출과 청년 인구 유입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인 만큼 체계적인 실행으로 실효적인 성과를 내도록 최선을 다할 일이다.

시는 방위산업체 풍산 부산공장의 지지부진한 이전에 발목이 잡힌 해운대 센텀2지구 ‘도시첨단산단’을 반면교사로 삼을 필요도 있다. 이 사업은 풍산 이전 부지가 해결되지 않아 장기간 답보 상태에 빠졌다. 시와 국방부가 53사단 재배치 협약을 순탄하게 매듭짓고 하루빨리 재배치에 나서는 게 원활한 사이언스파크 조성에 보탬이 될 것이다. 혹시 모를 사업성 저하를 구실로 일부 부지를 주거 용도로 변경하는 건 절대 금물이다. 첨단산단 조성은 실패로 이어지고 바로 옆 신시가지의 주거 권역만 확대될 뿐이다. 사이언스파크는 신시가지를 배후 주거단지로 삼아 첨단산단 기능을 제대로 해야 한다. 이게 부산의 확실한 신성장 동력이 되는 길이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