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의대 4곳 중 1곳 '수강 신청자 0명'

조영미 기자 mia3@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수강 신청 학생도 수업 참여 미지수
고신대 등 의대 5곳은 개강 연기
내달 말 2026학년도 정원 결정 전망

지난달 25일 서울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병원 내 복도를 걸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25일 서울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병원 내 복도를 걸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2026학년도 의대 입학정원 결정이 두 달 연기됐지만, 여전히 의대 정원을 둘러싼 갈등은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전국 의대 개강을 앞뒀지만 수강 신청은 사실상 없다시피 해 의대 교육 파행이 해를 넘기고도 이어지고 있다.

3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받은 ‘2025학년도 1학기 의과대학 수강 신청 현황’에 따르면 지난달 25일 기준 전국 40개 의대의 수강 신청 인원은 총 4219명에 머물렀다. 특히, 단 1명도 수강 신청을 하지 않은 의대는 전체 의대의 4분의 1인 10곳에 달했다.

부산대 의대를 포함한 전국 국립대 의대 9곳(서울대 제외)의 수강 신청 현황을 분석했을 때 수강 신청을 한 의예과 1학년 학생은 총 852명이었다. 9개 학교 신입생이 1244명인 만큼 상당수가 일단 수강 신청은 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만, 이들이 실제로 얼마나 수업에 참여할지는 미지수다. 지난해 2월에도 의대 신입생들은 수강 신청을 해놓고 수업을 거부한 전례가 있다.

부산대 의대의 경우 신입생은 아닌 1학년이 수강 신청을 한 사례가 4건 있었다. 24학번의 수강 신청은 없었다. 제주대와 전북대 역시 마찬가지였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40개 의대 중 5개 의대는 개강 연기를 발표했다. 고신대와 제주대는 3월 17일, 강원대와 울산대는 3월 31일, 가톨릭대 의대는 개강을 4월 28일로 각각 연기했다.

2026학년도 입학정원 결정은 간신히 두 달 연기되는 모양새다. 지난달 2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법안 심사 제1소위원회에서 보건의료기본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이 개정안에는 의사 정원을 정부 직속 의료인력수급추계위원회(추계위)에서 심의하도록 해, 각 대학 총장이 교육부·복지부 장관이 협의한 범위에서 오는 4월 30일까지 모집 인원을 정할 수 있도록 하는 특례 조항이 포함됐다.

보건복지위원회 전체 회의, 법제사법위원회를 거쳐 오는 6일 열리는 본회의에서 의결될 가능성이 크다. 이후 추계위 위원 구성 등 절차를 거치면 사실상 4월 말로 의대 정원 결정이 미뤄진다.

만약 추계위가 2026학년도 전체 의대 입학정원을 대학이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고 해도 갈등은 계속될 공산이 크다. 지난해 벌어진 학내 갈등이 이어질 전망이다. 대학은 의대 입학정원을 늘리고 싶어하고, 각 대학 의대는 정원 확대를 반대하기 때문이다. 내년도 의대를 준비하는 학부모와 수험생 사이의 혼란이 커 이들은 빠른 정원 확정을 촉구하는 상황이다.


조영미 기자 mia3@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