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단체들 “국립예술단체 통합 추진 반대”

남유정 기자 honeybee@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5일 오전 국회서 기자회견
지방 이전도 사실상 반대

문화연대와 한국민예총, 공공운수노조 문화예술협의회 등은 5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문체부의 국립예술단체 통합 추진에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남유정 기자 문화연대와 한국민예총, 공공운수노조 문화예술협의회 등은 5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문체부의 국립예술단체 통합 추진에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남유정 기자

정부가 국립오페라단·국립발레단 등 5개 국립예술단체의 통합을 추진하는 가운데 문화예술단체들의 반발이 계속되고 있다. 이들은 문화체육관광부 중장기 문화정책 ‘2035 문화 비전’의 핵심인 국립예술단체의 지방 이전에도 사실상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어 향후 정책 추진에 진통이 예상된다.

문화연대와 한국민예총, 공공운수노조 문화예술협의회 등은 5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문체부의 국립예술단체 통합 추진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각 단체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논의 없이 일방적이고 강제적으로 발표한 통합안은 문화예술계를 향한 문체부의 관료적이고 권위적인 태도를 보여준다”고 비판했다.

이동연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는 이 자리에서 “이 정도 큰 틀의 결정을 내리려면 1년 이상 연구용역이 필요하다”며 “통합 과정에서 어떤 연구용역도 없던 걸로 안다”고도 지적했다. 이들은 △공론화 과정 없이 졸속 추진하는 '국립예술단체 통합' 중단 △국립예술단체의 독립성과 자율성 보장 △현장 의견 수렴할 수 있는 공론장 개최 △행정 투명성와 문화예술계와의 실질적인 소통과 협의 보장을 요구했다.

문체부가 6일 발표할 ‘2035 문화 비전’에는 국립오페라단·국립합창단·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국립발레단·국립현대무용단 등 5개 국립예술단체 통합 사무처 신설과 이들 단체의 지방 이전 등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문체부는 이와 함께 국립 서울예술단의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의전당으로 이전과 국립오페라단의 대구 이전 등 지역 균형발전 차원의 문화 정책 중장기 계획을 밝힐 예정이다.

문화예술계는 이 같은 내용이 알려지자 반발하고 나선 상태다. 이들은 국립예술단체 통합 사무처 추진 결정에 충분한 연구와 공론화 과정이 없었고, 통합 사무처 설립 시 각 단체의 독립성과 자율성이 훼손될 거라고 우려하고 있다. 대표가 공석인 국립심포니 오케스트라를 제외한 4개 국립예술단체 단장은 지난달 25일 통합에 반대하는 공동입장문을 문체부에 전달했다. 문체부는 이에 대해 “이사회가 통합되더라도 각 단체의 기존 명칭과 정체성은 유지할 것”이라며 “단장 겸 예술감독도 기존대로 시즌 프로그램 선정과 개별 공연 프로그램 결정, 지휘·연출·안무에서 자율성을 보장받는다”고 밝혔다.

국립예술단체의 지방 이전 추진도 이번 갈등의 핵심이다. 통합 사무처 추진 대상인 국립현대무용단, 국립발레단,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국립오페라단, 국립합창단은 현재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에 상주하고 있다. 문체부의 지역균형발전 문화 비전이 추진되면 이들 단체는 각각 지방에 본거지를 옮겨야 한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오현택 안무가는 “예술단체들이 통합 사무처 추진과 지방 이전 추진을 모두 반대하는 입장인 걸로 안다”고 했다. 김재상 문화연대 사무처장은 “이번 기자회견에서 국립예술단체 지방 이전에 대한 입장도 밝히려고 했지만, 조금 더 논의를 하기로 했다”며 “단체들이 지방 이전 추진에 반대하고 있다는 말은 맞을 것”이라고 말했다.


남유정 기자 honeybee@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