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인재개발원 이전 놓고 지역마다 ‘동상이몽’
박완수 경남지사 발언에 유치 경쟁 ‘활활’
함양·함안·의령·거창·합천 등 유치 도전
진주시의회 5분 발언에서 대응방안 촉구
경남 진주시에 위치한 경남도 인재개발원이 경남의 ‘뜨거운 감자’가 됐다. 인재개발원 이전이 공론화되면서 함양군, 함안군, 의령군, 거창군, 합천군 등이 유치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16일 진주시의회에 따르면 오경훈 시의원은 지난 12일 열린 임시회 5분 자유발언에서 진주시에 인재개발원 이전 가능성에 대응한 체계적인 전략 마련을 촉구했다.
오 시의원은 먼저 “인재개발원의 기능과 역할을 고려할 때, 이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행정·재정적 비효율성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며 “인재개발원의 교육을 이수하기 위해 방문하는 공무원과 공공기관 직원들이 하대동을 비롯한 지역 경제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고려할 때, 성급한 이전 논의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경남도는 인재개발원의 이전 문제를 단순한 지역 간 경쟁의 문제가 아닌, 실질적인 행정 효율성과 도민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 의원이 이 같은 발언을 한 건 최근 인재개발원 이전 문제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2018년부터 경남도의회에서는 도정질문과 5분 자유발언 등을 통해 일부 의원들이 자신의 지역구로 인재개발원을 이전해야 한다는 주장을 지속적으로 제기해 왔다.
경남도 인재개발원은 1962년 부산에서 개원한 이후, 1988년 창원으로 이전했다. 그러다 2015년 12월 현재 위치인 진주시 경남도 서부청사로 자리를 옮겼다. 2016년 2월부터 본격적인 교육훈련을 시작했는데, 작년 한 해만 1만 6295명이 수료증을 받았다.
하지만 인재개발원은 진주시에 터를 잡은 이후 이전 논란은 지속적으로 이어져 왔다.
현재 인재개발원은 현재 독립된 건물이 아닌 서부청사 4~6층을 활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교육기관과 비교육기관이 혼재돼 교육생들의 불편이 이어졌고, 이로 인해 교육 효과가 저해된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숙박시설은 따로 마련돼 있긴 하지만 50여 명만 수용 가능할 정도로 규모가 작고 노후화도 심한 상황이다. 서부청사 내에서도 직원 업무 환경을 악화시킨다는 불만도 있다.
이에 2020년부터 인재개발원 이전 문제가 공론화됐고, 함양군, 함안군, 의령군, 거창군, 합천군 등이 유치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특히, 일부 지역에서는 인재개발원 유치를 위한 전담 TF팀을 구성하는 등 적극성을 보였다.
그러나 지난 2~3년 동안에는 이전 논의는 속도가 나질 않았다. 그러다 지난달 박완수 경남도지사가 도민 상생토크에서 이를 재차 언급하면서 다시금 유치 경쟁에 불이 붙고 있다.
진주시로선 지역 경제에 큰 도움을 주는 인재개발원을 별다른 대가 없이 뺏기게 될 수도 있는 만큼 이를 지키는데 사활을 걸어야 할 처지다. 실제 최근에는 폐교한 한국국제대 건물을 인재개발원으로 만들자는 목소리가 시 내부에서 나오고 있다. 현재 한국국제대 건물에 기숙사 등 시설이 남아 있는 만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조현신 경남도의원은 “인재개발원을 옮기려면 부지를 매입하고 건물을 짓는 등 엄청난 예산이 들어간다. 하지만 한국국제대는 최근에 지어진 기숙사 건물이 있다. 강의실에 운동장도 있기 때문에 예산도 아낄 수 있고 폐교 건물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런 부분을 잘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현우 기자 khw82@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