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확산에 안동·경북북부 교도소 2곳서 3500여명 이감…수용자 대이동

성규환 부산닷컴 기자 bastion@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25일 경북 청송군 경북북부제1교도소(옛 청송교도소)에서 수용자를 태운 법무부 버스가 나오고 있다. 법무부 등에 따르면 교정 당국은 이날 오후 경북북부교도소가 있는 경북 청송군 진보면 일대까지 산불이 번지자 버스를 이용해 수용자들을 인근 교정기관으로 이감하는 절차를 시작했다. 연합뉴스 25일 경북 청송군 경북북부제1교도소(옛 청송교도소)에서 수용자를 태운 법무부 버스가 나오고 있다. 법무부 등에 따르면 교정 당국은 이날 오후 경북북부교도소가 있는 경북 청송군 진보면 일대까지 산불이 번지자 버스를 이용해 수용자들을 인근 교정기관으로 이감하는 절차를 시작했다. 연합뉴스
25일 경북 안동시 남선면 마을에서 주민들이 야산에 번진 산불을 바라보고 있다. 연합뉴스 25일 경북 안동시 남선면 마을에서 주민들이 야산에 번진 산불을 바라보고 있다. 연합뉴스

경북 의성에서 시작한 산불이 25일 안동을 지나 청송까지 확산하면서 교정 당국이 경북북부교도소(옛 청송교도소) 수용자를 대피시키기 위해 이감을 결정했다.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법무부는 이날 "안동, 청송 등 경북 북부지역 산불 확산과 관련해 해당 지역 교정기관 수용자 이송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며 "진행 상황은 현장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어 구체적으로 말씀드리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안동시 풍산읍에 있는 안동교도소 수용자 800여명, 경북 청송군 진보면에 있는 경북북부교정시설 4개기관(경북북부제1교도소, 경북북부제2교도소, 경북북부제3교도소, 경북직업훈련교도소) 수용자 2700여명 등 총 3500여명이 이송 대상이다.


법무부는 이들을 버스에 나눠 태워 대구지방교정청 산하 교정기관으로 이송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다만 법무부는 구체적인 이송 장소는 공개하지 않았다. 고도의 보안 속에 이송에 만전을 기한다는 방침이다. 법조계와 교정 당국에 따르면 과거 일제강점기 감옥 체제 이후 근대적 의미의 교도소·구치소로 바뀐 뒤 자연재해로 인해 이처럼 대규모로 수형자·수용자를 이감하는 사례는 전례를 찾기 힘든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2022년 5월 경남 밀양에서 산불이 발생하자 밀양구치소 재소자 380여명이 신축돼 비어 있던 대구교도소로 긴급 이송됐다. 2017년 5월에는 강원 강릉 산불로 강릉교도소 내 재소자 330명을 옮기는 방안이 검토됐으나 불길이 일부 잡히면서 이감 계획이 취소된 바 있다.


성규환 부산닷컴 기자 bastion@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