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세대 의대생 등록 결정… 부산대는?

손혜림 기자 hyerimsn@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서울대 의대생 65% 등록 찬성
일부서 ‘등록 후 휴학’ 선회 기류
부산대, 27일 1학기 복학 마감
구체적인 복귀 규모는 비공개

서울대 의과대학 학장단이 의대생들에 오는 27일을 마지노선으로 제사하며 복귀를 호소했다. 의대생들의 복귀 시한은 이달 27일 오후 5시다. 사진은 26일 서울대 의대. 연합뉴스 서울대 의과대학 학장단이 의대생들에 오는 27일을 마지노선으로 제사하며 복귀를 호소했다. 의대생들의 복귀 시한은 이달 27일 오후 5시다. 사진은 26일 서울대 의대. 연합뉴스

부산대 의과대학이 27일 복학·등록 신청을 마감했다. 서울대와 연세대 의대생들이 1학기 투쟁 방침을 ‘등록 후 휴학’으로 선회하며 의대생 간 단일대오에 균열이 생기면서, 줄줄이 복귀 시한을 맞는 타 의대에서도 변화의 기류가 감지될지 주목된다.

부산대는 27일 의과대학 복학·등록 신청을 마감했다고 이날 밝혔다. 대학은 구체적인 복귀 규모나 분위기 등에 대해 알리지 않겠다는 방침을 강조했다. 부산대는 이날 이후로 미등록 학생에 대한 제적 예정 통보 등 절차를 곧바로 밟을 계획이다.

부산대 측은 “복귀 규모는 비공개가 원칙이라 말씀드릴 수 없다”며 “다만 학생들이 많이 혼란스럽고 불안해 할 것 같은데, (타 의대에서의 방침 변화로 인한) 영향이 조금이나마 있으면 하는 바람이다”고 밝혔다.

의료계 등에 따르면 서울대 의대생들은 1학기 등록에 나서기로 결정했다. 서울대 의대 의정갈등 대응 태스크포스(TF)가 지난 26일 밤부터 27일 오전까지 학생들을 대상으로 투쟁 방식에 대한 투표를 진행한 결과, 3분의 2가량이 등록에 찬성했다.

전체 응답자 645명 중 휴학이 승인된 38명을 제외한 607명의 65.7%(399명)가 ‘미등록 휴학으로 투쟁을 지속할 의향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아니오’라고 답변했다. 미등록을 이어가겠다는 이들은 208명(34.3%)에 그쳤다.

재입학이 어려운 제적 처분 등 위험 부담이 따르는 만큼 미등록 휴학으로 투쟁을 이어가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들은 우선 등록을 한 뒤 휴학이나 출석을 하지 않는 방식으로 투쟁을 이어갈 전망이다. 앞서 서울대 의대 학장단은 학생들에게 “27일 이후에는 모든 결정이 비가역적으로 의대 학장단의 통제를 벗어나며 ‘학생 보호’라는 의대의 원칙, 의지와 전혀 다른 심각한 상황을 맞이할 수도 있다”고 복귀를 호소했다.

연세대 의대 학생 비상시국대응위원회도 지난 26일 밤 ‘등록 후 휴학’으로 1학기 휴학 방식을 바꾸겠다고 공지했다. 지난 21일 등록을 마감한 연세대는 24일 미등록 의대생에게 제적 예정 통지서를 보냈다.

학교 측이 28일 최종 제적 처리를 앞두고 학생들이 복귀할 수 있도록 문을 열어둔 상황으로, 투쟁 방침이 바뀐 만큼 등록 신청이 잇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대와 연세대 의대생들의 투쟁 방침이 바뀌면서, 미등록 휴학이라는 원칙에 따라 단일대오를 강조해 온 의대생들 사이에서 기류가 변화할지 주목된다. 27일 부산대뿐만 아니라 이화여대, 동국대, 경상국립대, 영남대 등도 등록 시한을 맞이했고, 오는 31일까지 대부분 의대의 복귀 시한이 도래한다.

한편 서울대와 연세대를 제외한 나머지 38개 의대생들은 미등록 휴학 투쟁을 이어가겠다는 방침을 재차 내세웠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이하 의대협)은 이날 38개 의대 대표 명의 입장문을 내고 “투쟁이 끝난 것이 아니다”며 “서울대와 연새대 일부의 동요가 있었지만 나머지 38개 단위는 여전히 미등록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의대협은 투쟁 방침을 바꾼 연세대를 향해 “자신의 안위를 위해 39개 단위를 저버렸다”고 비판했다.


손혜림 기자 hyerimsn@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