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부경남

부산닷컴 > 서부경남
천년고찰 고성 옥천사 ‘자방루’ 보물 지정 기념행사

천년고찰 고성 옥천사 ‘자방루’ 보물 지정 기념행사

천년고찰 경남 고성군 옥천사 내 누각인 ‘자방루’의 국가지정문화재 지정을 축하하는 기념식이 열렸다.고성군은 25일 옥천사에서 자방루 보물 지정 기념행사를 열었다.현장에는 이상근 군수, 최을석 군의회 의장과 군의원, 도의원, 정점식 국회의원, 정영환 신도회장과 신도 등 300여 명 함께했다.기념행사는 보물지정서 전달, 환영사, 축사, 자방루 항일운동사 소개, 제막식, 기념식수 순으로 진행됐다.옥천사는 신라 문무왕 16년(676) 의상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진다.사찰 경내에 있는 자방루는 조선후기 사찰의 누각건축에서 나타난 장엄의 사례 중 손꼽히는 수작으로 평가된다.상량문 등 기록에 따르면 1664년에 법당 맞은편에 있는 정문(正門)으로 처음 건립됐고, 1764년에 누각 형태로 중창돼 ‘정루(正樓)’ 또는 ‘채방루(採芳樓)’라 불렸다.앞쪽에 ‘옥천사(玉泉寺)’ 편액이, 뒤쪽에는 ‘자방루(滋芳樓)’ 편액이 걸려 있다.자방루는 대웅전보다 큰 규모로 정면의 모든 칸에는 판문(板門)을 두어 개방과 폐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했다.외부는 정면 7칸 측면 3칸에 누하주(樓下柱, 누마루 밑 기둥) 없는 단층 전각의 구성을 하고 있다.내부는 고주(高柱, 내부기둥)를 두고 통간(通間, 내부 벽체가 없음) 형을 사용했다.자방루 앞으로 외정(外廷, 바깥마당)이 자리하고 있는데, 지면과의 높이 차를 극복하기 위해 158cm가량의 자연석 석축을 조성하고 그 위에 60cm 높이의 기단을 설치해 건물을 올렸다.공포는 익공형(새 날개 모양의 단순한 공포) 공포로 지붕의 연목이 노출되는 연등천장을 하고 있다.대웅전을 마주하고 있는 배면에는 76cm 높이의 난간을 설치해 놨다.승병 양성 교육시설로 태동해 일제강점기 백초월 스님 등 애국지사의 활동 거점 장소로 활용되기도 했다.1972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에 이어 지난해 12월 28일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됐다.이상근 군수는 “소중한 자방루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보존과 전승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 강원일보
  • 경남신문
  • 경인일보
  • 광주일보
  • 대전일보
  • 매일신문
  • 전북일보
  • 제주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