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광받는 무릎 연골 재생 치료] 퇴행성 관절염, 줄기세포로 '젊은 관절' 되찾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줄기세포 이식술로 관절 연골을 재생하는 치료가 확산되고 있다. 손상되면 다시 재생되지 않는 무릎 연골을 줄기세포 이식으로 재생을 유도하는 치료법이다. 노인들에게 흔한 퇴행성 무릎 관절염의 새로운 치료법이어서 환자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부산 연제구 연산동 김재도줄기정형외과의원 김재도 원장의 도움말로 퇴행성 무릎 관절염의 줄기세포 이식 치료법에 대해 알아본다.

■재생되지 않는 연골

'노년의 불청객' 지긋지긋한 통증
몸속 줄기세포로 근본치료 가능

자가골수·카티스템 두가지 방법
수술시간 짧고 통증완화 속도 빨라

"관절염 조기 치료해야 효과 커
의료진과 상담 후 치료방법 결정"


인체 조직 가운데 일단 손상되면 재생되지 않는 조직이 있다. 뇌척수 조직과 연골 조직이다. 최근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 방법이 소개된 이후 줄기세포를 이용한 뇌척수 조직 재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은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성과가 나오지 않고 있다. 반면에 관절 연골 재생에 대한 연구 수준은 이보다 훨씬 앞서 있다. 이미 줄기세포를 활용한 치료로 좋은 치료 성과가 확인되고 있다.

퇴행성 무릎 관절염은 나이가 들면서 나타나는 질환이다. 연골은 오래 사용하면 변형되고 닳아 없어지게 된다. 뼈 사이 완충작용을 하는 연골이 닳으면 당연히 통증이 시작된다.

김재도 원장은 "무릎 관절은 우리 몸의 체중을 지탱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중요한 부위이지만 관절 연골은 손상을 입게 되면 회복이 불가능하다"면서 "따라서 얼마 전까지는 손상된 연골 재생을 통한 관절염 치료는 불가능했다"고 말했다.

퇴행성 무릎 관절염 치료에는 주로 약물, 물리치료, 통증주사 등의 이용한 보존적 치료법이 먼저 동원된다. 이 방법으로 낫지 않으면 수술 치료가 필요하다. 연골을 인공연골로 바꾸는 인공관절치환술이나 관절 내시경수술 등이 대표적인 수술 치료다.

김 원장은 "줄기세포 치료 활성화로 줄기세포 연골 재생술이 등장해 퇴행성 관절염의 새로운 치료 방법으로 각광받고 있다"면서 "줄기세포 이식을 통한 연골 재생 치료로 퇴행성 무릎 관절염의 근본적인 치료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무릎 연골은 일단 손상되면 저절로 재생되지 않는다.   부산일보DB
■다양한 줄기세포 치료법

줄기세포 연골 재생술은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나뉜다. 최근 국내 업체에 의해 출시된 인체 제대혈을 이용해 만든 중간엽 유래 줄기세포 치료제인 카티스템과 유럽에서 널리 사용되는 자가골수 유래 줄기세포(BMAC) 치료가 국내에서 적용되고 있다.

카티스템과 자가골수 유래 줄기세포 치료는 연골 분화 촉진과 염증 완화 등의 작용을 하며 손상된 연골 재생을 돕는다.

김 원장은 "기존 수술법은 단순히 통증 완화를 위해 시행되는 경우가 많지만 줄기세포 치료는 손상된 연골을 원래 상태로 복원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면서 "조직 재생과 통증 완화 속도가 빠르고 수술 시간도 1시간 이내로 짧아 치료가 비교적 간편하다"고 말했다.

자가골수 유래 줄기세포 치료는 환자 몸에서 줄기세포를 추출해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비용이 상대적으로 덜 든다. 이 치료법은 50세 이하 환자에게 적합하다. 반면 카티스템 치료는 연령 제한이 없지만 치료 비용이 많이 든다.

김 원장은 "줄기세포를 이용한 연골 재생 치료법은 도입된 지 얼마 되지 않은 만큼 경험이 풍부한 의료진과 충분히 상의해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퇴행성 무릎 관절염은 50대 초반부터 시작된다. 무릎 관절염을 게속 방치하면 대부분 다리가 O자형으로 변형하게 된다.

관절 변형이 오기 전에 치료를 시작하면 줄기세포 이식 치료로 간편하게 관절 연골 재생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변형이 오면 줄기세포 이식술과 더불어 관절 정렬을 바르게 회복하는 치료가 필요해 회복 기간이 훨씬 길어지게 된다.

김 원장은 "50대부터 무릎 관절염 증상이 있으면 통증을 줄이는 증상 치료에만 매달릴 게 아니라 주기적으로 검사를 받아 관절 연골 이상이 발견되면 조기에 줄기세포 이식 연골 재생 치료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고신대 복음병원 원장을 지낸 김 원장은 최근까지 복음병원 정형외과 교수로 재직하다 정년퇴임했다.

이현우 기자 hooree@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