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너 몰린 박 대통령 '인물난'에 쇄신 발목
'최순실 파문'으로 코너에 몰린 박근혜 대통령이 대대적인 국면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최악의 위기 상황을 수습할 적임자를 구하지 못해 애를 먹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원로 만나고 檢 수사 협조 등
대대적 국면전환 '안간힘'
비서진·내각 개편 시급하나
최순실 여파 후임자들 난색
위기 상황 수습 '난관'
현재 박 대통령은 국정운영 방식의 대전환과 대규모 인적 쇄신 등 크게 2가지 방식으로 위기 돌파를 추진하고 있다. 박 대통령은 최근 새누리당 고문단과 사회 각계 원로들을 만나 난국 수습 방안을 청취한 것은 물론 각 분야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 관계자는 1일 "박 대통령이 신뢰할 만한 인사들에게 자문을 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박 대통령은 검찰 수사에도 적극 협조하고 있다. 청와대 정연국 대변인은 이날 최순실 씨가 청와대를 수시로 출입했다는 언론 보도와 관련해 출입기록 등의 자료를 검찰에 넘길 수 있느냐는 질문에 "할 수 있는 사항까지는 다 해야 할 것"이라고 했고, 청와대 관계자도 "검찰이 수사하는 데 협조할 것은 당연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황교안 국무총리도 이날 국무회의에서 "모든 의혹을 철저히 수사해 잘못에 상응한 엄정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국민들의 의구심을 신속히 해소해야 한다"고 밝혔다.
문제는 국정운영 방식의 전환에 못지않게 중요한 인적 쇄신이 말처럼 쉽지 않다는 점이다. 최순실 사태 여파로 국정운영의 동력을 상실한 상태에서 적임자들이 선뜻 나서지 않고 있다는 전언이다. 민정수석과 홍보수석 인선을 끝낸 청와대는 비서실장과 정책조정수석, 정무수석을 아직 낙점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물론 청와대 관계자들의 말대로 전임자가 급작스럽게 사표를 제출한 지 3~4일 만에 새 얼굴을 내놓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게다가 정치권을 포함한 국민 모두가 환영할 만한 인물을 단시일 내에 찾기는 어렵다. 하지만 청와대 예산안을 심사하는 국회 운영위가 2일 예정돼 있어 난감한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김규현 외교안보수석이 실장 역할을 대행할 것이란 얘기도 들린다.
이 때문에 박 대통령이 비서실장과 수석을 포함해 '측근 3인방'이 내놓은 비서관 자리를 일괄 발표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국무총리를 비롯한 내각 개편도 고민이다. 박 대통령은 정치권과 사회 원로들의 요구를 수용해 '책임총리'를 임명할 가능성이 높지만 인물을 고르는 게 난제다. 거국내각 구성의 경우 박 대통령이 수용하기도 쉽지 않고, 여야가 합의하기도 어렵지만 책임총리는 박 대통령이 결단만 내리면 가능하다.
그러나 책임총리로 거론된 일부 인사가 난색을 표명하고 있는데다 여야 정치권의 입장도 달라 하마평만 무성한 실정이다.
권기택 기자 ktk@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