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의 삶과 꿈] 외면받는 부산 광고시장
/하승준 ㈜산영커뮤니케이션 대표 부산광고산업협회 부이사장
지난달 20일, '지역건설산업 활성화 촉진'에 관한 기사를 읽었다. 부산건설업계 단체장들과 서병수 부산시장이 참석하여 진행된 면담에서, 부산건설업계는 부산 도시정비사업에 지역건설사가 30% 이상 참여 시 건축 용적률 인센티브를 20%까지 상향해줄 것을 건의했고, 시에서는 이를 적극 수용할 것이라는 답변을 얻었다는 게 주내용이었다.
기사를 읽어 내려가는 동안 입체적인 감상이 스쳐갔다. 압도적 자본력을 보유한 대기업과 수도권 업체의 지방 진출 등 갈수록 열악해져가는 부산 건설시장에 제도적인 촉진 장치가 마련된다니….
서울 업체가 지역 광고 장악
돈·인재 서울 유출현상 심각
지역 건설업 참여 가점 주듯
광고업계도 부산시 지원 절실
부산 광고업계가 처한 상황을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진퇴양난'이라는 말이 가장 적합할 것이다. 그중 첫 번째 난(難)은 수도권 광고업체의 부산 진출이라 볼 수 있다. 다르게 말하자면 부산 광고주의 수도권 유출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이름만 대면 알 법한 부산 기반의 빅 클라이언트들이 하나둘씩 부산 소재 광고대행사를 떠나 서울 업체에 일을 의뢰하고 있다. 대충 꼽아봐도 8, 9개 이상으로, 방송 광고 외 전체 광고 금액만 따져도 300억~400억 원가량의 매출액이 수도권으로 유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수도권과 지방 광고시장 매출액은 갈수록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도 전국 총 광고액 중 93.4%가 수도권에 집중된 것으로 조사됐다. 금액으로 따지면 13조 5000억 원가량이다. 부산 시장의 매출액은 전체 규모의 2.8%에 불과하다.
두 번째 난은 바로 부산지역의 인재 유출이다. 위 상황처럼 대형 클라이언트는 물론 국내 광고 전반이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광고업계 인재들 또한 수도권으로 유출되고 있다. 2014년도 전국 사업체 중 수도권 사업체 수가 62.5%에서 2015년도엔 68.3%를 기록하며 폭발적인 성장률을 보였다. 반면 부산의 경우에는 8.4%에서 8.5%로 0.1%의 미진한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부산 광고업계를 외면하고 현상을 방관하고 있는 것은 지자체뿐만이 아니다. 광고업계에 고루 분배되어야 할 국가 및 공기업 광고조차도 국무총리령 제541조 훈령에 따라 모 재단이 매체대행을 총괄해왔다. 정부광고비(전국 기준)는 지난해만 해도 5779억에 달하는 거금으로, 특정 재단은 광고료의 10%나 되는 수수료를 독점해온 셈이다.
부산 지자체는 공기업 광고의 대행 독점을 막고, 지역 광고대행사의 공기업 광고 수주 활성화를 위해 국무총리령 제541조 훈령의 해제 혹은 지역의 특수성을 인정받아 독립적 광고 집행을 건의해야 한다. 이후 공기업 광고 대행의 배분 및 할당은 부산 광고대행사의 컨소시엄(공동수급체) 구성을 통해 지역 내에서 할당될 수 있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또한 건설 분야처럼 인허가 및 분양 승인 등 지방자치단체의 권한이 크거나 대규모 자본이 유입되는 사업, 부산에 기반을 둔 중대형 기업체의 광고 활동은 물론 부산에서 열리는 크고 작은 국제행사 개최 등에 지역 내 광고대행사를 통한 광고 집행을 권유하고 지역 광고시장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법적 방안 마련에 적극 나서야 한다. 실제 대구시의 경우 건설분야에 지역광고업체가 공동도급·하도급으로 참여하도록 적극 권장하고 있다.
이에 그치지 않고 부산지역에 기반하거나, 활동하고 있는 기업의 협조도 필요하다. 지역 경제를 살리는 데는 지역 내 생산품을 소모하는 것만큼 좋은 방법은 없다. 광고 의뢰에 앞서 같은 지역에 속한 공동체로서 함께 성장하고자 하는 의식을 동반한다면 광고주는 지역밀착형 광고회사의 노하우와 정보력을 통한 인사이트를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
부산은 세계적 광고인들의 축제인 부산국제광고제가 열리는 도시다. 이러한 인지도를 바탕으로 부산의 지자체와 광고산업 관계자들, 지역공동체가 협력하여 부산 광고시장 전체의 파이를 키운다면, 부산의 신성장 동력으로 자리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