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지역 입사자’, 타지 출신보다 이직률 훨씬 낮아
공공기관 지역인재 채용 할당 정책이 시행되고 있는 가운데, 새로 뽑은 신입직원 중 지역인재로 채용된 사람이 비(非) 지역인재보다 1년내 퇴직할 확률이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은 28일 발간된 재정포럼 2월호 ‘공공기관 지역인재 채용목표제에 대한 연구’에서 이같이 밝혔다. 지역인재 채용이란 이전 공공기관이 해당 지역 학교를 졸업한 사람을 일정비율 이상 채용하는 제도다. 이 비율은 점점 올라갔으며 올해는 30%까지 확대된다.
조세재정연 ‘1년 내 이직률’ 비교
지역인재 14.8%, 타지 인재 17.7%
지역 할당제 긍정적 효과 입증
이번 연구는 공공기관 신규 입사자를 대상으로 △지역인재와 △비 지역인재로 나눠 1년내 퇴사하는 경우를 살펴본 것이다. 연구원은 “이직률이 높아지면 조직의 성과가 낮아진다는 연구결과들이 다양하게 있다”며 “이에 따라 신규 입사자 이직률은 공공기관의 성과관리 측면에서 중요한 요소”라고 말했다.
이에 연구는 38개 공공기관의 2018~2019년 입사자 4425명의 자료를 분석했다. 이들 중 1년내 퇴사한 사람은 14.8%인 654명이었다. 이 가운데 지역인재 중 퇴사자는 86명(7.3%)이었고 비 지역인재 중에선 568명(17.5%)에 달했다.
연구원은 지역인재 여부가 1년내 퇴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로직 회귀분석을 실시했는데 그 결과, 비 지역인재 입사자가 지역인재보다 퇴사할 확률이 69%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지역인재 채용 목표제가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며 “신규 입사자에 대한 교육훈련과 채용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감소시킨다는 측면에서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특이한 점은 지역인재 등의 구분없이 남자와 여자의 차이를 분석한 점이다. 이 당시 여자는 2386명, 남자는 2039명이 뽑혔는데 남자의 퇴사비율이 22.0%로 여자(8.6%)보다 크게 높았다.
연구원은 “지역인재가 서울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공공기관과 지역대학, 지자체간 계약학과와 오픈캠퍼스 등을 통해 직무역량이 높은 지역인재를 채용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덕준 기자 casiop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