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3연패' 민주당, 환골탈태 실기해선 안 된다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지역 일꾼을 뽑는 6·1 지방선거가 더불어민주당의 참패로 막을 내렸다. 절대다수당이 국민의 준엄한 심판을 받은 게다. 민주당은 지난해 4·7 부산·서울시장 재·보선과 올 3·9 대선에 이어 이번 지방선거에서 국민의힘에 밀려 3연패를 당했다. 특히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은 광역단체장 17곳 중 5곳을 건지는 데 그쳤다. 4년 전 광역단체장을 14곳이나 차지했던 것과 비교하면 격세지감이다. 이는 잇단 선거 패배 이후 당 쇄신을 외면한 채 무리한 검찰 개혁을 강행하며 윤석열 정부에 대립각을 세운 전략이 실패했다는 뜻이다. 이런 결과는 민주당이 겸허한 자세로 말뿐이 아닌 실질적인 혁신에 나서라는 민심의 표출로 읽힌다.

선거 참패 책임론 둘러싼 내홍 불거져
뼈를 깎는 자성과 혁신 없인 미래 없어

지방선거 결과를 부산으로 좁히면, 민주당의 성적은 더더욱 참담하다. 민주당은 부산시장은 물론 사상 처음으로 기초단체장 16곳 전부를 국민의힘에 내줬다. 국민의힘 박형준 시장 당선인은 역대 가장 높은 66.36%의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했을 정도다. 민주당의 기초단체장 후보들 대부분은 국민의힘 후보에 큰 표 차이로 패했다. 부산 광역의원 선거에서도 42곳 모두 국민의힘이 승리했으며, 민주당은 비례대표 시의원 5석 중 2석만 얻었을 뿐이다. 4년 전 선거에서 민주당이 ‘문재인 열풍’에 힘입어 시장과 기초단체장 13곳에서 압승하고, 광역·기초의원까지 대거 휩쓸었던 것과는 너무나 대조적인 성적표다.

이번 지방선거는 새 정부가 출범한 지 한 달도 안 된 시점에 실시돼 야당인 민주당에 불리했던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어느 정도 예견됐던 무난한 패배나 석패가 아니라, 참패라는 데 교훈이 있다. 민심이 새 정권에게 지방정부와 협력해 경제와 민생을 잘 챙기라며 힘을 실어 주는 한편 민주당에 대해선 심판론을 들이댔기 때문이다. 국민의 심판에는 민주당 지도부의 자중지란,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법안 강행 처리, 당내 성추행 의혹 등 여러 악재가 겹쳐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무엇보다 민주당이 ‘조국 사태’를 거치면서 보여 준 ‘내로남불’ 행태와 오만함에 대해 국민 불신이 여전한 데서 패배의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민주당에서는 참패 책임을 둘러싼 내홍이 불거지고 있다. 지도부 균열의 빌미를 제공한 비상대책위원회는 2일 총사퇴를 결정했다. ‘이재명 책임론’이 제기되고 친문(친문재인)·친명(친이재명) 세력 간 비방과 다툼도 잇따른다. 반성보다는 서로 책임 떠넘기기에 치중하며 으르렁대는 모습이다. 이래선 민주당의 미래는 없다. 쇄신 기회마저 놓칠 수 있다. 민주당이 뼈를 깎는 자성과 철저한 혁신을 통해 건강한 야당으로 환골탈태해야 마땅하다. 마지막이라는 각오로 국민에게 절실함을 입증하며 신뢰를 얻어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2년 후 총선과 2027년 차기 대선에서도 국민이 외면할 수 있다는 걸 명심할 일이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