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상의 부회장 출신에 32세 최연소 청년까지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 광역의회 화제의 당선인

부산상의 의원 출신의 국민의힘 강철호(왼쪽) 부산시의원 당선인, 민주당 비례대표 1번으로 시의회에 입성한 서지연(가운데) 당선인, 32세의 최연소 국민의힘 이준호 당선인. 각 당선인 제공

6·1 지방선거는 부산시의회의 권력 구조를 바꿔 놓았다. 더불어민주당 현역 시의원들이 전부 물러나고 새 인물들이 그 자리를 꿰찼다. 재계의 핵심 인사, 청년 공개 오디션을 통해 선발된 ‘젊치인’(젊은+정치인) 등이 대거 시의회에 입성해 혁신의 바람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강철호, 8년 전 낙선 아픔 딛고
부산상의 의원 경력 첫 시의원
서지연, 비례대표 1번으로 입성
청년 공개 오디션 통해 정치 입문
이준호, 해군사관학교 조교수 출신
장애인체육진흥 조례 제정 등 활동


■부산상의 의원 최초 당선

강철호(59) 부산상공회의소 부회장은 오랫동안 바랐던 ‘정치인의 꿈’을 이뤘다. 8년 전 쓰라린 낙선의 아픔을 딛고 이번 지방선거에서 63.0%라는 압도적 득표율로 동구1 시의원에 당당히 당선됐다. 8년 전 무소속으로 30.4%를 득표하는 저력이 이번에 결실을 맺은 셈이다.

강 당선인은 회원사 투표로 뽑는 부산상의 의원 출신 첫 시의원이다. 기업인으로 수출을 위해 미국, 유럽 등 선진국 곳곳을 돌아다닌 경험이 ‘정치 DNA’를 만들어냈다고 말했다.

그는 “선진국 도시와 우리 원도심이 많이 비교됐는데, 사실 부산도 도약할 준비는 다 돼 있는 것 같았다”며 “조금씩만 생각을 바꾼다면 충분히 선진국 도시처럼 될 수 있다고 확신했고 이에 정치에 도전하게 됐다”고 말했다.

강 당선인은 시의회 입성 후 부산상의를 비롯한 부산 상공계와 함께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에 총력을 쏟을 예정이다. 그간 국민의힘 부산선대위 2030부산월드엑스포유치특위 부위원장, 2030부산월드엑스포 범시민서포터즈 공동후원회장 등을 맡으며 세계박람회 유치에 애정을 보였다. 강 당선인은 “전문성을 기반으로 부산시와 기업 유치에도 힘써 원도심 부활을 이끌고, 지역 주민의 삶도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암관리법 개정 최초 제안

서지연(35) 사단법인 쉼표 이사장은 각 정당의 얼굴이라고 할 수 있는 광역의원 비례대표 1번으로 시의회에 입성한다. 청년 공개 오디션을 통해 당당히 1번 자리를 꿰찬 서 당선인은 짧지만 굵은 정치 행보로 주목을 받았다. 3·9 대선에서 더불어민주당 상임선대위원장으로 활약했으며, 그 전에는 암관리법 개정안을 관철시키기 위해 정치권과 소통했다.

서 당선인은 2018년 당시 30대 젊은 나이에 암 진단을 받았다. 2030세대가 항암치료와 일을 병행하기 어렵다는 점을 몸으로 느낀 그는 투병 후 젊은층의 암 치료 후 삶을 지원하는 일에 몰두했다. 서 당선인이 최초 제안한 암관리법 개정안은 현재 국회 본회를 통과한 상태다. 그는 현재 난임, 결혼 이주 여성, 폐업한 스타트업 기업인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포럼활동도 병행한다.

서 당선인은 민주당 출신의 정치 신인인데도 날카로운 견제 역할을 톡톡해 해내겠다고 다짐했다. 서 당선인은 “(국힘 압승으로)무거운 마음이지만, 최대한 유능하고 날카롭게 행정을 견제·감시할 것”이라면서 “반대를 위한 반대를 하지 않고, 부산을 위한 일이 제때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32세 최연소 당선인

‘최연소 부산시의원’이 된 이준호(32) 당선인은 “젊은 나이지만 똑같이 평가받겠다”며 당찬 포부를 밝혔다. 4년 전 20대 후반의 나이로 첫 선출직(금정구의원)을 거머쥔 그는 4년 만에 체급을 높여 66.2%라는 높은 득표율로 금정2 시의원에 당선됐다.

부산대 출신의 이 당선인은 해군사관학교 조교수를 하다 고교 선배인 백종헌 국회의원을 만나면서 정계에 입문했다. 구의원 시절에는 전공을 살려 장애인체육진흥 조례를 만드는 등 열정적인 의정 활동을 했다.

장애인들이 농구 등 운동할 때 비용이 많이 든다는 점을 감안해 이를 지원하는 역할에 힘썼다.

이 당선인은 시의회에서도 장애인체육을 비롯해 침례병원 공공병원화, 금샘로 조기 개통 등 굵직한 지역 이슈도 앞장서서 이끌어 갈 계획이다. ‘대학 도시’ 금정구 청년 정치인으로서 대학생들과 정치 간 소통 창구 역할도 자청한다.

이 당선인은 “박형준 부산시장, 백종헌 국회의원과 현안 사업을 100% 이뤄내도록 열정을 쏟아붓겠다”고 말했다.

이승훈 기자 lee88@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