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탄소집전체 부식 억제해 해수전지 성능 대폭 증가"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이동욱 교수팀, 티타늄에 티타늄카바이드 코팅해 전지 안정성 높여
탄소집전체 부식 억제 통한 성능 향상…‘Adv. Func. Mater.’ 게재

그림. 기존의 티타늄 (Normal Ti)을 쓴 경우와 TiC를 코팅한 티타늄(Black Ti)를 쓴 경우 배터리 전자 이동 비교: 기존의 티타늄 집전체의 경우 탄소 집전체와 같이 이용할 경우, 티타늄의 매끄러운 표면에 의해 두 물질 사이에서 contact area가 적게 발생하고, 전류가 국부적으로 흘러 과전압을 유발한다. TiC를 이용한 티타늄의 경우 contact area를 넓혀주어 전자의 이동을 원활하게 해서 계면의 과전압을 줄이는 효과를 보인다. UNIST 제공 그림. 기존의 티타늄 (Normal Ti)을 쓴 경우와 TiC를 코팅한 티타늄(Black Ti)를 쓴 경우 배터리 전자 이동 비교: 기존의 티타늄 집전체의 경우 탄소 집전체와 같이 이용할 경우, 티타늄의 매끄러운 표면에 의해 두 물질 사이에서 contact area가 적게 발생하고, 전류가 국부적으로 흘러 과전압을 유발한다. TiC를 이용한 티타늄의 경우 contact area를 넓혀주어 전자의 이동을 원활하게 해서 계면의 과전압을 줄이는 효과를 보인다. UNIST 제공

슈퍼히어로 영화에는 항상 연약하거나 평범한 주인공이 등장한다. 이런 주인공은 특정한 계기를 통해 ‘슈트’를 장착하면서 특별한 능력을 갖게 된다. 최근 이런 흥미로운 현상을 착안해 진행된 연구가 있어 주목받고 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해수전지의 성능을 대폭 증가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에너지화학공학과 이동욱 교수 연구팀은 해수전지에서 집전체로 쓰이는 티타늄 표면에 티타늄카바이드라는 검정 슈트를 입혀 전지 성능을 높였다.

집전체는 전자가 이동하는 통로가 되는 소재로, 해수전지의 양극 집전체는 탄소와 티타늄 금속으로 이뤄져 있다.

이 중 티타늄 금속 집전체는 해수와 작용했을 때 안정성이 높지만, 함께 사용되는 탄소 집전체는 부식 현상이 발생해 전지 안정성을 약화한다.

이에 연구팀은 티타늄에 티타늄카바이드를 코팅하는 방법을 고안했는데, 이 과정에서 탄소집전체의 부식 현상이 억제됨을 발견했다. 특히 티타늄카바이드를 코팅한 티타늄은 해수 환경에서 화학적, 전기화학적, 기계적 안정성을 보였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그림. 기존의 티타늄(Normal Ti)을 쓴 경우와 TiC를 코팅한 티타늄 (Black Ti)를 쓴 경우 탄소집전체 열화 비교: 기존의 티타늄의 경우 EDS와 DEMS 장비를 통해 탄소집전체 열화를 나타내는 CO2의 생성이 더 많이 일어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Black Ti의 경우는 계면저항의 완화 효과와 OER/ORR 효과로 인해, 두 계면 사이의 과전압을 완화하고 탄소집전체의 부식을 억제하는 데 성공하였다. UNIST 제공 그림. 기존의 티타늄(Normal Ti)을 쓴 경우와 TiC를 코팅한 티타늄 (Black Ti)를 쓴 경우 탄소집전체 열화 비교: 기존의 티타늄의 경우 EDS와 DEMS 장비를 통해 탄소집전체 열화를 나타내는 CO2의 생성이 더 많이 일어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Black Ti의 경우는 계면저항의 완화 효과와 OER/ORR 효과로 인해, 두 계면 사이의 과전압을 완화하고 탄소집전체의 부식을 억제하는 데 성공하였다. UNIST 제공

연구팀이 개발한 집전체를 해수전지에 이용할 경우 코인 타입 셀은 기존 대비 사이클 성능이 4배, 출력 성능이 30% 향상됐다. 전압 간격은 20% 수준으로 감소했다.

또 대용량 셀에서도 출력 성능이 15% 증가하고, 저항과 전압 간격이 각각 25%와 20%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같은 성능 향상이 탄소 집전체의 부식을 억제한 덕분이라는 사실을 정량적, 정성적으로 확인했다.

제1저자인 조윤종 연구원은 "해수전지는 바닷물을 양극 물질로 이용한 차세대 배터리 시스템"이라며 "이번 연구를 통해 간단한 방식으로 제작한 집전체가 해수전지뿐만 아니라 연료전지, 플로우 전지, 금속 공기 배터리 등의 상용화를 앞당기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재료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Advanced functional materials)에 2월 20일 자로 온라인 게재됐다.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UNIST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