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의 눈] 교사들은 왜 거리로 나서는가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폭염이 기승을 부리는 방학인데도 수만 명의 교사들이 거리로 나서서 교권 보장과 공교육 정상화를 요구하고 나선 일이 있다. 교육 현장에서 목숨을 끊은 어느 교사의 죽음으로 촉발된 교사들의 불만과 요구는 갑작스러운 것이 아니다.

많은 학부모들은 학급의 담임 선생님과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면서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는데, 일부 학부모들이 몰상식한 언행으로 교사를 괴롭히고 있다. 특히 아동학대는 수사 기관에 신고만 해도 해당 교사는 직위해제를 당해 수업이나 업무에서 배제를 한다고 하니 교사들의 교권은 극도로 위축될 수밖에 없다. 교사들이 학생들을 지도하다 보면 꾸중도 하고 훈계를 하는데 학생이나 학부모가 기분이 나쁘다고 정서적 아동학대로 신고하면 교사들은 속수무책으로 직위해제를 당하고 아동복지법 위반으로 수사의 대상이 된다.

피의자가 된 교사는 수사 과정에서 조사를 받으러 경찰서를 들락거려야 하며, 경찰 조사가 끝나더라도 검찰에서 보완 수사를 지시하면 수사 기간이 길어져 몇 개월이 걸린다. 교사는 수사를 받으면서 심신이 피폐해지고 자존감에 크게 상처를 받는다. 수사 결과 무혐의가 나와도 어디에서 피해 보상을 해주는 것도 아니다.

아이들의 교육은 학교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무엇보다 가정에서 가족을 통해 이루어지는 가정교육도 아이들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그렇기에 아이들의 교육을 위해 교사와 학부모 사이에 원활한 의사소통은 필요하다고 본다. 이번 기회에 교사들이 교육에 전념할 수 있도록 악성 민원과 악의적인 아동학대 신고로부터 벗어나는 제도적인 장치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곽규현·부산 금정구 금정로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