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세대 위협하는 오염수 방류 당장 중단하라” 전국서 거센 반발
야권, 일 항의서한·무기 농성 돌입
전북·충북환경단체 등 “범죄 강행”
부산시, 방사능 분석 장비 2대 추가
서울시, 수산물 표본 조사 결과 공개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를 하루 앞둔 23일 전국적으로 야당과 환경단체, 시민단체의 반발이 이어졌다.
부산에선 더불어민주당 경남도당 지역위원장들이 초량의 일본 영사관을 찾아 항의서한을 발표했다. 민주당 부산시당과 경남도당의 청소년특별위원회는 이날 공동성명을 발표하고 “미래세대의 생명과 행복 추구권 가로막는 오염수 방류를 당장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진보당 노정현 부산시당위원장은 23일 오전 10시부터 일본영사관 앞에서 ‘일본 핵 오염수 투기 결정 철회’를 주장하며 무기한 농성에 돌입했다. 부산에서는 시민단체의 항의 집회도 계속된다. 오염수 방류가 시작되는 24일에는 ‘촛불집회’가 열리고 26일에는 대규모 항의집회도 개최될 예정이다.
전국적으로도 비슷한 상황이다. 전북환경운동연합은 이날 오전 전북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방사성 오염수 해양 투기는 인류가 경험해본 적이 없는 일로, 해양 생태계와 인류에게 어떤 악영향을 미칠지 아무도 모른다”고 우려했다. 충북기후위기비상행동도 이날 오전 충북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인해 발생하는 오염수는 일본 정부가 끝까지 관리하고 책임져야 할 핵폐기물”이라며 “일본은 모든 책임을 방기하고 해양 투기라는 범죄를 강행했다”고 지적했다.
일본방사성오염수해양투기저지 경기행동과 충남환경운동연합·충남시민단체연대회의, 윤석열 정권 퇴진 강원운동본부 등도 각각 기자회견을 열고 오염수 방류 철회를 요구했다.
전국 지자체는 비상 대책을 연이어 발표했다. 부산시는 수산물 안전성 강화를 위해 올해 하반기까지 식품·수산물 방사능 분석장비를 2대 추가하고 수산물 소비촉진 사업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경남도는 방사능 검사를 공식 유튜브로 생중계해 시민들이 직접 확인할 수 있게 한다고 밝혔다. 또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외식업체 등에 수산물 방사능 안전 정보도 전파할 예정이다. 일본산 수산물의 유통 이력과 원산지 표기 단속도 강화한다. 울산시는 원산지 특별 점검 대상을 491곳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산지와 어종을 불문하고 모든 종류의 수산물을 대상으로 매일 표본조사를 시행하고 검사 결과를 실시간 공개하기로 했다. 서울 수산물 유통량의 21.7%를 차지하는 가락시장, 노량진시장, 수협강서공판장 등 3대 도매시장에서는 휴무일인 일요일을 제외하고 매일 방사능 검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강원도는 그동안 월 2회 주요 위판장의 수산물을 수거해 방사능 검사를 시행했으나 오염수 방류 이후는 매일 검사로 바꾼다. 전남도는 조사 품목과 횟수를 기존 62개 800건에서 전 품종 1200건 이상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전남도도 수입 수산물 유통 이력제 품목을 17개에서 21개로 늘리고, 원산지 표시 품목을 기존 15개에서 20개로 확대했다.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