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안전 사각지대’ 등산로 일제 점검 나선다

김준현 기자 joon@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16개 구군 등산로 전수 조사
취약지 CCTV 추가 설치 계획
2021년 조사 땐 60여 개뿐

부산시 자치경찰위원회가 부산 16개 구·군 등산로에서 CCTV 사각지대를 조사하고 나섰다. 부산 서구의 한 등산로에 설치된 CCTV 모습. 서구청 제공 부산시 자치경찰위원회가 부산 16개 구·군 등산로에서 CCTV 사각지대를 조사하고 나섰다. 부산 서구의 한 등산로에 설치된 CCTV 모습. 서구청 제공

부산시 자치경찰위원회가 CCTV가 적은 탓에 치안 취약지대로 분류되는 등산로에 대해 점검에 나섰다. 미설치 지역에는 CCTV 설치로 실시간 감시체계를 구축해 최근 등산로나 둘레길 등지에서 잇따르는 흉악 범죄로부터 시민들을 지키겠다는 계획이다.

부산시 자치경찰위원회는 등산로 안전 확보를 위해 방범용 CCTV 설치가 필요한 지역을 조사하고 있다고 4일 밝혔다. 오는 8일까지 이어지는 조사는 경찰, 구청 등 기관 협조를 통해 부산 16개 구·군 전체 등산로를 점검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번 조사 계기는 최근 CCTV 사각지대에서 발생한 흉악 범죄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난달 최윤종(30)은 서울 관악구의 한 등산로에서 여성을 성폭행하고 살해한 혐의로 경찰에 붙잡혔다. 최윤종은 해당 등산로에 CCTV가 없다는 걸 알고서 이를 범행 장소로 택했다고 경찰에 진술했다.

부산은 산에 둘러싸인 만큼 등산로와 이용객이 많은 데 비해 CCTV 등 범죄에 대한 예방은 부실한 편이었다. 부산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부산 내 등산로는 442개 노선으로 길이만 715.97km에 달한다. 하지만 등산로 주변에 설치된 CCTV는 60여 개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 자치경찰위원회는 조사를 통해 파악되는 치안 취약지대에는 예산을 확보해 CCTV를 추가로 설치할 계획이다. 앞서 시와 시 자치경찰위원회는 2021년 부산 서구에서 발생한 시약산 살인사건 때도 등산로 현장 전수 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 당시 치안 사각지대 등산로 128개소가 조사돼, 현재 스마트폴(가로등과 CCTV 기능을 동시에 수행) 구축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시 자치경찰위원회는 스마트폴 구축 사업과 이번 전수 조사를 통해 시민들의 등산로 이용에 대한 불안감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 자치경찰위원회 관계자는 “2021년 조사 이후 미처 발견하지 못했거나 새로운 우범 지역이 있을 수 있다는 생각에 이번 조사가 실시됐다”며 “이번 조사는 등산로 안전 확보 사업을 확대하는 과정에서 거쳐 가는 과정이다. 앞으로도 시민들이 안전하게 등산로를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도 흉악범죄 대응을 위해 CCTV를 비롯한 범죄예방환경설계 사업 등을 확대할 방침이다. 지난달 28일 행정안전부는 전국 시도 기획조정실장과 자치경찰위원회 사무국장 연석회의를 개최했다. 행안부는 등산로, 둘레길 진출입로 등 범죄취약시설에 CCTV 설치를 확대하고 범죄 예방환경설계 사업(CPTED)을 확대해 달라고 요청했다.


김준현 기자 joon@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