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내주 푸틴 만나러 러시아행”

이현정 기자 yourfoot@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4년 5개월 만의 북러 정상회담
‘무기 빅딜’ 이뤄지면 파장 클 듯

2019년 4월 블라디보스토크서 만난 북러 정상. 로이터 연합뉴스 2019년 4월 블라디보스토크서 만난 북러 정상. 로이터 연합뉴스

북한의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이르면 다음 주 러시아를 방문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질 것으로 보인다. 북러 정상회담은 북한이 러시아에 포탄 등 무기를 제공하는 대신 인공위성·핵잠수함 등 첨단 기술을 요구하는 이른바 ‘무기 빅딜’이 이뤄질 수 있어 비상한 관심을 모은다.

뉴욕타임스(NYT)는 4일(현지 시간) 미국 정부 관계자 등을 인용해 김 위원장이 이달에 러시아를 방문할 계획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북한은 러시아에 포탄 등을 제공하는 대신 인공위성과 핵잠수함 등 첨단기술 이전과 식량 지원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북러 연합군사훈련 문제도 논의할 것으로 보여 한미일 대 북중러 대결 구도가 강화되고 동북아 정세에도 큰 파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NYT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방탄 열차를 이용해 블라디보스토크로 이동한 뒤 푸틴 대통령과 회담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오는 10∼13일 블라디보스토크 극동연방대에서 열리는 동방경제포럼(EEF)에서 김 위원장과 푸틴이 만날 수 있다는 것이다. 김 위원장의 방러가 성사되면 2019년 푸틴 대통령과 만난 이후 4년 5개월 만의 회동이 된다.

회담이 모스크바에서 열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북한 정부 대표단 20명이 지난달 말 기차로 평양에서 출발해 블라디보스토크로 이동한 뒤 비행기로 갈아타고 모스크바를 향했는데 이는 김 위원장이 방러를 진지하게 고려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NYT는 전했다.

앞서 미국 정부는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부 장관의 방북에 이어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이 서한을 교환하는 등 북한과 러시아 간 무기 거래 협상이 진전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김 위원장의 방러 논의는 지난 7월 쇼이구 장관의 북한 방문 때 처음 제안된 것으로 미국 정부는 보고 있다. 김 위원장이 러시아와의 군사 협력 강화를 제안하며 푸틴 대통령의 방북을 요청하자 쇼이구 장관이 김 위원장의 방러를 맞제안했다는 것이다.

북러가 정상외교를 복원하면 연합군사훈련 등을 통한 양국의 군사적 밀착이 강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현정 기자 yourfoot@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