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표 영장 초읽기… ‘체포동의안 정국’ 여야 셈법 복잡
검찰 빠르면 주초 청구 가능성
21일 또는 25일 국회 표결 전망
친명 ‘부결 주장’에 비명 반발
국힘 ‘포스트 이재명 체제’ 등 우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에 대한 검찰의 구속영장 청구가 초읽기에 접어들면서 다가올 ‘체포동의안 정국’을 둘러싼 여야 셈법이 복잡해지고 있다. ‘방탄’ 딜레마에 빠진 민주당은 체포동의안 가부에 따라 당내 계파 갈등이 걷잡을 수 없이 악화할 전망이다. 국민의힘은 민주당을 몰아붙이면서도 이 대표 구속 이후 재편될 수 있는 ‘포스트 이재명 체제’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다.
17일 정치권에 따르면 검찰은 정기국회 회기 중인 이번 주 백현동 개발 특혜와 쌍방울그룹 불법 대북 송금과 관련해 이 대표의 구속영장을 청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주초 체포영장이 청구되면 오는 21일 혹은 25일 본회의에서 체포동의안 표결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검찰의 영장 청구가 임박하자 여야는 체포동의안 정국 대비에 분주한 모습이다. 민주당은 여전히 체포동의안 처리를 놓고 부결의 친명(친이재명)계와 가결의 비명(비이재명)계 간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면서 대립하는 상황이다. 여기에 2주 넘게 이어지는 이 대표의 단식을 계기로 친명계는 체포안 부결론에 더욱 힘을 싣고 있다.
민주당 정청래 최고위원은 이 대표 체포동의안 가결 요구를 강력하게 비판하기도 했다. 정 최고위원은 지난 15일 “항간에 이 대표가 나서서 체포동의안이 들어올 경우 가결 처리를 선언하라고 하는데, 그런 일은 결코 없을 것”이라며 “논리적으로 불가한 억지 주장”이라고 체포동의안 부결 의지를 확고히 했다. 친명계의 ‘부결론’엔 이 대표가 만일 구속될 경우 당대표 리더십 타격과 함께 이 대표를 비롯한 친명계 주도권이 무너질 수 있다는 심리가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 이 대표 구속과 함께 ‘포스트 이재명 체제’ 구축에 동력이 붙을 수 있다는 것이다.
비명계는 이 대표가 결자해지 차원에서 ‘방탄 논란’ 없이 법원 영장 심사에 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비명계 일각에서 일찌감치 차기 지도부를 구성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오면서 체포동의안 정국을 앞두고 민주당은 방향 설정에 애를 먹고 있다.
국민의힘도 머리가 복잡하다. 여당은 ‘이재명 리스크’를 고리로 대야 압박에 나서지만, 총선을 7개월 앞둔 상황에서 이 대표가 실제 구속됐을 때 등장할 포스트 이재명 체제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다. 이 대표가 구속될 경우 민주당이 지지층 결집과 중도층 흡수 효과를 누릴 수 있어 민주당의 정당 지지율이 되레 반등할 수 있다는 시각이다.
곽진석 기자 kwak@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