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바닥 찍었나…상장 중기 매출 늘고 적자 줄어

김진호 기자 rplkim@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항 신선대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는 모습. 연합뉴스 부산항 신선대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는 모습. 연합뉴스

상장 중소기업 실적이 바닥을 찍고 반등의 틀을 마련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반기 이후 국내외 경기 회복 등에 힘입어 실적 개선이 이어지며 내년에는 적자를 탈피할 것으로 보인다.

19일 우리금융경영연구소의 '2023년 2분기 상장 중소규모 기업 실적 동향과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매출액 1000억 원 미만인 비금융 상장 중소규모 기업 675개사의 지난 2분기 합산 매출액은 9조 2000억 원, 영업손익은 814억 원 적자로 집계됐다. 업체당 평균 매출액은 136억 원, 영업손익은 1억 2000만 원 적자다.

2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9.0% 증가했고, 영업이익률은 -0.9%로 1분기(-3.4%) 대비 2.5%포인트(P) 개선됐다.

상장 중기 매출액 증가율은 지난해 1분기 29.2%로 역사적 고점을 찍은 뒤 2분기 17.7%, 3분기 15.6%, 4분기 12.2%에 이어 올해 1분기 7.8%까지 4분기 연속 하락세를 지속하다가 2분기 소폭 반등했다.

영업이익률은 지난해 1분기 7.1%에서 2분기 3.2%로 낮아진 뒤 3분기(-0.1%) 마이너스 전환했고, 4분기( -1.3%)와 올해 1분기(-3.4%) 그 폭이 확대됐지만 2분기 마이너스폭을 줄였다.

보고서는 "상장 중기의 2분기 실적 분석 결과 5분기 만에 매출액 증가율이 반등하고 영업적자 폭이 축소됐다"면서 "60% 내외에 달했던 적자 기업 수도 50%로 줄었다"고 분석했다.

2분기 매출액 증가율 상위 업종 중 영업이익이 증가한 업종은 5개로, 자동차부품과 건설건자재, 건강관리장비·서비스, 방송·엔터테인먼트, 화장품 등이었다. 매출액 증가율 하위 업종 중 영업이익률이 저조한 5개 업종은 바이오, 핸드셋, 통신장비, 디스플레이장비·부품, 전자장비·기기 등이었다.

보고서는 "상반기 중 코로나19 특수소멸과 물가 상승에 따른 높은 금리 부담으로 매출 증가세 둔화 및 적자를 시현했던 상장 중기는 하반기 실적이 다소 개선될 것으로 관측된다"고 설명했다.

또 보고서는 "2024년은 주요국 금리인상 기조가 마무리될 가능성이 높고, 미국 대선이 예정돼 있어 적극적인 경기부양책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유가 등 원자재 가격이 하향안정화되고 있어 상장 중기들이 적자에서 탈피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김진호 기자 rplkim@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 대학 소식

        동의과학대, 퍼솔크로스테크놀로지와 업무 협약 체결

        동의과학대, 퍼솔크로스테크놀로지와 업무 협약 체결

      • 뉴스인뉴스

        캠코, 청렴·윤리 결의대회로 청렴실천 다짐

        캠코, 청렴·윤리 결의대회로 청렴실천 다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