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의대 증원 현실화 때 무전공·자유전공자 의대 진학 허용” 추진
대학 정원 30% 무전공 선발도 검토
학과 도입 취지 퇴색·공정성 우려
교육부가 무전공·자유전공으로 대학에 입학하는 학생에게 의대 진학을 허용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교육부가 대학에 무전공, 자유전공 도입을 혁신사례로 규정하고 장려하는 상황에서 의대 증원 카드와 연동해 대학 ‘혁신 드라이브’를 걸겠다는 취지다.
19일 교육부 등에 따르면 교육부는 의대 증원이 현실화 될 경우 일부 대학에서 운영중인 자유전공, 무전공 입학생이 전공 선택 과정에서 의대 진학을 가능하게 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현재 일부 대학에서 시행 중인 무전공제는 보통 3학년 때 전공을 선택하는데 이과정에서 의대 진학은 불가능하다.
흔히 ‘자유전공학부’로 선발하는 무전공제는 주요 대학에서 2009학년도에 도입됐다.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이 문을 열면서 로스쿨이 설치된 대학은 법과대학을 폐지해야 했는데, 그만큼의 정원에 해당하는 신입생을 받기 위해 만들어졌다. 보통 자유전공학부로 입학한 학생들은 3학년 때 전공을 선택한다. 각 대학에서 고등교육법 시행령이 정한 의대 정원 기준에 따라 학교 내 전과를 허가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이같은 교육부 방안이 시행될 경우 무전공, 자유전공이 ‘의대 진학 전공’으로 변질돼 학과 도입 취지를 살리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교육부는 무전공 입학을 ‘학과 벽 허물기’로 보고 각 대학이 입학 정원의 30%를 무전공으로 선발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대학에서 융합형 인재를 뽑겠다는 취지인데, 의도와 달리 의대 진학에 실패한 학생들이 향후 ‘재도전’을 위해 무전공, 자유전공 학과에 대거 몰릴 가능성이 매우 높다. 입학 후에도 의대 전공에 진학하지 못한 경우 휴학이나 자퇴 등으로 학교를 이탈하는 학생들이 생길 수도 있다.
무전공 학생 가운데 어떤 기준에 따라 의대생을 뽑을지를 두고도 논란이 일 수 있다. 지역 대학의 경우 입학전형에서 의대와 타 학과의 합격선이 크게 차이나기 때문에, 무전공 입학생들의 의대 진학이 ‘공정성 논란’ 등으로 기존 의대생들의 반발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자율전공 입학 후 의대로 진학하는 것은 몇몇 대학에서 제안한 아이디어다"며 "정부는 구체적인 정책 방안으로 추진하고 있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김준용 기자 jundragon@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