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총선 룰 ‘도덕성 강화’ 방점
내주 총선기획단 첫 회의
비명 공천 불이익 등도 논의
더불어민주당 총선기획단이 비명(비이재명)계의 ‘친명(친이재명) 일색’ 비판에도 내주 첫 회의를 열어 본격적인 총선 밑그림 그리기에 돌입한다. 친명계 조정식 사무총장이 단장을 맡은 총선기획단은 정책 공약, 공천과 인재 영입, 홍보 방향성 등 전체적인 선거 콘셉트를 이끌면서 총선 체제로의 전환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총선기획단 관계자는 2일 내주 초 첫 회의 개최 방침을 밝히면서 “세세한 룰은 공천관리위원회가 정하는 만큼, 총선기획단 단계에선 큰 틀에서의 비전과 담론, 방향성을 다룰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기획단을 통해 총선 청사진을 그리면서 후보자의 도덕성 강화 부분을 주요하게 논의할 계획이다. ‘전당대회 돈 봉투 사건’, 탈당한 김남국 의원의 거액 코인 보유·거래 논란 등을 의식한 조치로 풀이된다.
비명계의 공천 불이익 우려를 불식하기 위한 방안도 논의될 전망이다. 당내 경선 시 경력을 표기할 때 이재명 대표의 이름을 넣지 못하게 하는 방안, 주요 전략 지역을 제외하고는 경선을 원칙으로 하는 방안 등이 다뤄질 가능성이 점쳐진다. 이와 함께 총선기획단은 ‘김은경 혁신위’가 제안한 현역의원 페널티 강화 등의 혁신안도 검토할 방침이다. 앞서 김은경 혁신위는 현역 의원 평가 하위 20%에게 경선 득표의 20%를 감산하는 기존 규정을 하위 10%까지는 40%, 10∼20%는 30%, 20∼30%는 20% 감산하도록 바꾸는 방안을 제안한 바 있다.
이와 함께 친명계는 조 사무총장의 사퇴 등 총선기획단 구성에 대한 비명계의 반발에 대해서는 “지역구 관리에 충실하라”며 강경한 반응을 보였다. 친명계 좌장인 정성호 의원은 이날 K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입만 열면 (이재명) 대표 사퇴하라고 하는 것보다 윤석열 정부의 퇴행적 행태를 지적하는 게 더 필요하다”면서 “그게 당원들의 지지를 모아 가는 과정”이라고 주장했다.
전창훈 기자 jch@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