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장기요양기관 1만 곳 빈대 점검…부산 주택서도 출현(종합)

손희문 기자 moonsla@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사하구 한 주택서 최근 확인
부산시, 다중이용시설 점검

지난 13일 대구 중구 한 숙박업소에서 대구시 위생정책과, 중구 위생과 직원들이 빈대 확산 방지를 위한 공중위생업소 점검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13일 대구 중구 한 숙박업소에서 대구시 위생정책과, 중구 위생과 직원들이 빈대 확산 방지를 위한 공중위생업소 점검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과 수도권 등에 잇따라 출몰하고 있는 빈대가 부산에서도 처음 발견돼 방역 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21일 부산 사하구 등에 따르면 지난 14일 사하구의 한 주택에서 빈대가 발견됐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신고자로부터 받은 사진을 한국방역협회를 통해 검증한 결과 빈대가 맞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사하구는 이날 밝혔다.

사하구보건소 등에 따르면 앞서 지난달 중순 신고자는 자녀가 두드러기 증세와 가려움을 호소해 자녀를 병원에 데려갔다. 당시 병원에서 벌레에 물린 자국으로 추정된다고 하자 신고자는 빈대를 의심해 기존 침대 등을 버리고 빈대 살충제로 자가 방역도 했다. 신고자는 추석 이후 10월 초께 3~4일간 국내여행을 다녀왔으며, 이 지역은 빈대가 출몰했던 지역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한 달 여가 지나 빈대 1마리가 또 발견됐고, 사안이 심각하다고 판단해 방역 당국에 신고한 것이다. 사하구보건소 관계자는 “신고자가 초기 대처를 적절하게 잘 한 덕분에 확산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면서 “현재까지 다른 사하구 주민들의 추가 의심 신고는 없는 상태지만, 빈대가 출몰했을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의 전화는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구청 측은 예비비를 들여 스팀기, 약품을 구매하는 등 빈대 방역 체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사하구청 관계자는 “빈대 발생 신고가 접수되면 빈대 퇴치팀을 현장에 보내 확인하고 방역할 계획”이라면서 “빈대 취약시설인 쪽방이나 고시촌, 노숙인 시설 등에는 보건소와 협업해 대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부산시는 관할 구군에 특별교부세를 지원하고, 위생점검을 강화하는 등 관련 조치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부산시 감염병관리과 관계자는 “특별교부세 1억 원을 구·군에 긴급 교부해 해당 구·군이 자체적으로 방역 실정에 맞게끔 장비와 약품 등을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면서 “오는 8일까지 진행하는 빈대 점검 방제기간에 맞춰 강화된 방제조치를 시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는 지난 13일부터 대중교통을 비롯한 숙박시설과 찜질방, 목욕탕 등 빈대 발생 우려가 높은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점검을 진행중이다.

보건복지부의 경우 20일부터 노인요양시설 등 장기요양기관을 대상으로 겨울철 대비 안전 점검과 병행해 빈대 방지 점검을 시작했다고 21일 밝혔다. 동절기 안전 점검은 내년 1월 19일까지 2개월간 모든 장기요양기관 총 1만 1608곳에서 실시한다. 현재까지 장기요양기관에서 빈대 발생 신고 사례는 없다.

전문가들은 빈대 발생 신고를 모니터링하고 합당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공중보건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빈대와 같은 위생 해충을 연구해온 을지대 양영철 보건안전환경학과 교수는 “프랑스의 경우 관심을 갖지 않아 빈대 발생 자체가 은폐되고 감춰져 프랑스 전역이 ‘빈대 습격’을 입었을 정도”라며 “앞으로 우리 정부나 지자체도 시설별 빈대 발생 신고를 모니터링하고, 합당한 조치를 취해나가는 등 공중보건의 측면에서 적절한 대책을 마련해나갈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까지 부산시에 접수된 빈대 신고는 총 4건이다. 이 중 공식적으로 접수된 빈대 출몰은 1건, 의심 신고 사례는 3건으로 확인됐다.

빈대 발견이 의심될 경우 각 구·군 보건소나 '부산 바로콜센터'로 문의할 수 있다.


손희문 기자 moonsla@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