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세력 등장 두려워 선거제 결정도 못 하는 여야
지역구 최소 조정 방향만 동의
비례성 강화 관련 논의는 뒷전
신당 창당 저지 방안에만 골몰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이 선거제도 개편과 관련, ‘위성정당 회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국민의힘은 위성정당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병립형 비례대표제’를 주장한다. 병립형에 대한 당내 반대가 심한 민주당은 ‘위성정당이 없는’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주장한다. 양당 모두 ‘탈당파’ 등의 신당 창당을 막을 수 있는 선거제도를 만드는 데 힘을 쏟는 모습이다.
국회 다수당인 민주당은 비례대표 선거제도 개편과 관련 당론을 정하지 못하면서도 “위성정당은 안 된다”고 강조한다. 위성정당에 대한 거부감은 특히 친명(친이재명)계에서 두드러진다. 강성 친명계인 장경태 최고위원은 4일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 인터뷰에서 “여러 가지 신당 논의가 이어지는 게 연동형 비례대표 제도의 폐해”라고 말했다. 그는 “연동형 제도가 갖고 있는 폐해 중에 하나가 비례후보만을 배출함으로써 의석을 상당하게 차지할 수 있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강성 친명계인 서영교 최고위원도 지난 1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 인터뷰에서 “(의원총회에서)위성정당 안 된다는 부분에 의견을 모았다”고 말했다. 그러나 민주당 의원총회에서 위성정당이 안 된다는 합의는 이뤄지지 않았다. 이런 사실은 홍익표 원내대표가 확인했다. 홍 원내대표는 4일 같은 프로그램 인터뷰에서 “(그런)합의가 된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민주당 친명계가 ‘위성정당은 안 된다’는 주장을 반복하는 것은 당내 비명계나 중도층 지지자들의 이탈을 막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친명계는 지난 총선에선 위성정당 창당에 힘을 싣는 정반대 모습을 보였다.
다만 민주당 주변에선 친명성향의 위성정당 창당 가능성도 제기된다. 당을 탈당했지만 친명계로 분류되는 송영길 전 대표는 4일 기자들과 만나 “선거제도가 병립형으로 회귀하지 않고 (현행)연동형을 유지하면 위성정당 논란을 피할 (민주당의)우당이 있어야 한다”며 “윤석열 퇴진 선봉에서 싸우는 세력을 모아서 플랫폼 연합 정당, 가칭 윤석열 퇴진당을 만드는 것이 명분과 실리를 챙기는 일”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의 상황이 복잡하게 돌아가는 가운데 국민의힘에서도 ‘제3세력’을 준비하는 인사들이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활용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영남 물갈이’ 대상 의원들이 공천에서 탈락하면 ‘이준석 신당’으로 쏠리면서 비례신당이 구체화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와 관련 이 대표는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연동형 비례제로 가면 국민의힘은 한동훈 장관의 비례대표 출마가 봉쇄되고, 선거대책위가 영남 중심이 되면서 수도권 중심 선거를 치르지 못 한다”면서 야당이 전략적으로 연동형을 택할 가능성을 언급했다.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