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학업성취도 평가 실시
초 3·5·6, 중 1·3, 고 1·2 대상
내년 2월 20일~4월 30일 진행
정부가 내년 초 학생 개개인의 학업 수준을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한 ‘맞춤형 학업성취도 평가’를 시행한다. 대상 학년은 초 3·5·6학년, 중 1·3학년, 고 1·2학년이다. 이번 시험은 내년 2월 20일부터 4월 30일까지 학교별로 자율적으로 진행된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024년 맞춤형 학업성취도 평가 시행 계획을 13일 발표했다. 맞춤형 학업성취도평가는 이른바 ‘일제고사’로 불렸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와는 다르다. 학교 또는 학급별로 자율적으로 신청해 치르는 진단평가로, 진단 결과에 따라 각 학생의 학업 성취 수준을 파악해 이를 학습에 활용할 계획이다.
평가는 컴퓨터 기반 평가(CBT) 방식이며, 학생들은 학교에서 컴퓨터·노트북·태블릿PC 등을 이용해 응시한다. 초3의 경우 지필 평가 방식도 가능하다.
시험 대상은 초3·5·6학년, 중1·3학년, 고1·2학년으로 확정됐다. 특히 ‘책임교육학년’으로 지정된 초3과 중1은 시도교육청과 협의해 전체 학생이 학력을 진단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교육부 측은 “교과 학습이 시작되는 초3과 중등 교육이 시작되는 중1은 학력 격차가 벌어지기 쉬운 시기”라며 “학생 개개인이 부족한 부분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평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교육부는 국어·수학·영어 등 학업 성취 수준뿐만 아니라 사회·정서적 역량 등 비인지적 특성에 대한 진단 결과도 각 학생에게 전달할 예정이다. 각 학교는 진단 결과를 반영해 교육 과정을 정할 예정이다.
김한수 기자 hangang@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