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북한 해안포 도발, 단호히 대응하되 의도 잘 살펴야
포 사격 금지 구역이라 군사 도발 명백
의도된 긴장 고조 시도 정교한 대처를
북한이 협박과 막말의 ‘말 폭탄’에 이어 실제 포문을 열어 해안포를 발사하는 무력 도발을 감행했다. 북한군은 6일 오후 연평도 북서방 개머리 진지에서 방사포 등 포탄 60여 발을 쏘았고, 앞선 5일 오전에도 백령도 북방 장산곶 일대와 연평도 북방 등산곶 일대에서 200여 발이 넘는 포탄을 발사했다. 포탄의 낙하지점이 서해 북방한계선(NLL) 북방이긴 했지만 9·19 남북군사합의로 포 사격과 해상 기동 훈련이 금지된 해상 완충 구역이기 때문에 명백한 군사 도발이다. 이에 맞서 우리 군도 K9 자주포와 전차포 등을 동원해 대응사격 훈련을 실시했고, 주민 대피령을 내려 만약의 사태에 대비했다.
이번 포 사격은 일과성 도발로 가볍게 봐서는 안 된다. 북한은 9·19 합의 파기 때 “충돌 사태가 발생하는 경우 전적으로 대한민국 ‘것’들이 책임지게 될 것”이라고 위협한 바 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도 연말 노동당 회의에서 “북남관계는 적대적인… 전쟁 중에 있는 두 교전국 관계로 완전히 고착됐다“면서 “우발적 요인에 의해서도 물리적 격돌이 발생하고 그것이 확전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남조선 전 영토 평정 대사변 준비” 등 남북 무력 충돌을 기정사실화하는 발언을 쏟아냈다. 남한을 향해 ‘전쟁 불사’를 외치며 ‘강대강’ 도발 태세를 선언했고, 실제 해안포를 발사하는 실행에 들어간 것이다.
북한이 서해 NLL을 목표 지점으로 해안포를 발사한 것도 다분히 의도된 것이다. 그곳은 과거 연평해전과 대청해전, 천안함 폭침의 현장이다. 북한이 ‘강대강’ 도발을 빈번하게 일으켰던 ‘한반도의 화약고’인 것이다. 그곳을 겨냥해 발사된 해안포는 9·19 합의 중 ‘우발적 충돌 방지’ 조항을 사실상 무력화시켰다. 북한의 위협대로 언제든 무력 충돌이 가능한 상태가 된 것이다. 또 북한은 비무장지대 내 최전방 감시 초소를 복원하거나 경의·동해선 육로에 지뢰를 매설하는 모습까지 포착됐다. 이런 일련의 움직임을 보면 북한은 우리와의 무력 대결을 염두에 두고 사전 연습을 진행 중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북한 최고 지도자가 우리를 향해 ‘물리적 격돌’ ‘영토 평정’ 운운하며 겁박한 직후 해안포가 발사됐다. 일련의 ‘말 폭탄’ 연장선상에서 예정된 실행의 수순이었던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북한의 의도된 군사적 도발이 언제 감행되어도 이상할 게 없다고 봐야 할 것이다. 9·19 합의 파기 후 우리 군의 대응을 시험하기 위해, 또는 한국과 미국이 총선과 대선을 치르는 틈을 타서 갈등과 혼란을 노린 시도가 그것이다. 무엇보다 우리 군의 단호한 대응이 필요하다. 다만 북측의 노림수인 무력 충돌, 한반도 긴장 고조 전략에 말려들 필요는 없는 만큼 정교한 분석과 대응 전략의 병행이 절실한 국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