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단 많은 사상·사하·강서구 공기질 ‘빨간불’

나웅기 기자 wonggy@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기준치 초과 오염 물질 배출 많아
18곳 적발 중 17곳 서부산권 집중
지자체, 사업장 개선명령 등 점검

부산 사하구 신평장림산업단지 모습. 정종회 기자 jjh@ 부산 사하구 신평장림산업단지 모습. 정종회 기자 jjh@

지난해 부산 사업장 18곳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대기오염 물질이 배출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공단이 몰린 서부산권에 기준치 초과 사업장이 집중되면서 이 일대 대기 질에 빨간불이 켜졌다.

부산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대기오염 물질 배출시설 156개 사업장에 대해 총탄화수소(THC)·먼지·황산화물·질소산화물·탄화수소 등 대기오염도를 검사한 결과, 11.5%에 해당하는 18곳에서 대기오염물질 배출 허용 기준을 초과했다고 10일 밝혔다.

검사 대상 중 17곳은 작업 물량 부족이나 사업장 폐쇄 등 장기 미가동으로 오염물질 배출 정도를 측정할 수 없었으며, 나머지 77.6%에 해당하는 121곳은 모두 적합 판정을 받았다. 보건환경연구원은 각 지자체 의뢰를 받아 시설 점검이 필요한 사업장 위주로 선별해 점검을 진행했다.

배출 허용 기준을 초과한 시설 18곳 중 15곳은 탄화수소 배출 허용 기준을 초과했고, 3곳은 사업장 굴뚝에서 나온 먼지 배출 허용 기준을 넘었다. 주로 금속 제품 제조업이나 인쇄업 등 사업장에서 대기오염 물질이 허용 기준을 초과해 배출됐다. 공단이 많은 서부산권에 대기오염 배출 허용 기준 초과 사업장이 집중됐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사상구 7곳, 강서구 6곳, 사하구 4곳, 기장군 1곳 순이었다.

최근 3년간 사업장 대기오염 물질 정밀 검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대기오염 물질 배출 허용 기준을 넘긴 사업장 비율이 제일 높았다. 연도별로 보면 2021년 6.8%, 2022년 8.7%, 2023년 11.5%였다. 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기준 초과 사업장 비율이 늘어난 이유로, 코로나19 이후 사업 활동이 증가한 점을 주된 원인으로 꼽았다. 공장 가동률이 늘어나면서 대기오염 배출 기준을 초과하는 사업장 비율도 함께 높아진 것으로 분석한다.

보건환경연구원은 배출 허용 기준을 초과한 시설 18곳을 관할 지자체에 통보했다. 각 지자체는 기준치를 초과한 사업장에 대해 개선 명령을 내렸고, 향후 사업장별로 조치가 완료됐는지 재점검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탄화수소나 사업장 굴뚝에서 나온 먼지가 기준치를 초과하게 되면 사업장 일대 대기오염을 발생시키고 2차적으로는 근로자와 시민들의 호흡기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어 철저한 관리 점검이 필요하다”며 “유성 도료를 사용하고 있는 금속기계 부품 업체 등은 지속적인 현장점검에 나서도록 각 지자체에 통보했다. 실시간으로 대기질을 측정하거나 관측하고 있으며 문제가 있으면 빠르게 조치를 취하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나웅기 기자 wonggy@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