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교통비 20~53% 돌려주는 ‘K패스’ 5월 시행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월 15회 이상 이용자 부담 완화
부산 동백패스와 융합 방안 협의

월 15회 이상 버스·지하철 등 대중교통을 탄 사람들을 대상으로 교통비 20~53%를 돌려주는 K-패스가 5월에 출시된다. 연합뉴스 월 15회 이상 버스·지하철 등 대중교통을 탄 사람들을 대상으로 교통비 20~53%를 돌려주는 K-패스가 5월에 출시된다. 연합뉴스

월 15회 이상 버스·지하철 등 대중교통을 탄 사람들을 대상으로 교통비 20~53%를 돌려주는 ‘K-패스’가 5월에 출시된다.

국토교통부는 대중교통비의 20~53%를 절감할 수 있는 K-패스 사업을 5월부터 시행해 국민 교통비 부담을 완화하고 정기적인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겠다는 계획을 17일 밝혔다.

K-패스는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시내버스와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지출금액의 일정비율(일반인 20%, 청년층 30%, 저소득층 53%)을 다음 달에 돌려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다.

현재 시행 중인 알뜰교통카드는 이용할 때마다 스마토폰의 앱을 켜고 도보나 자전거 이동거리를 계산해야 하는 등 불편이 있었다. 복잡한 사용형태로 인해 앱이 다운되기도 했다.

그러나 K-패스는 이동거리와 관계없이 지출금액의 일정 비율 환급해주는 것이다. 사실상 대중교통비를 깎아주는 사업이다.

예를 들어 매월 대중교통비로 평균 7만원을 지출하는 사람이라면 일반인은 1만 4000원, 청년은 2만 1000원, 저소득층은 3만 7000원을 절감할 수 있다. 연간 기준으로는 17만~44만원까지 아낄 수 있다.

여기에 아직 확정되지는 않았으나 카드사의 추가 할인혜택(최대 10%)까지 더해지면 교통비 절감 효과가 매우 크다.

현재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고 있는 이용자는 K-패스로의 회원 전환 절차를 거치면 별도의 카드 재발급 없이 기존에 발급받은 교통카드를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알뜰교통카드 앱을 통해 이용약관 및 회원전환 등 동의 절차가 진행된다.

신규 이용자는 5월부터 K-패스 공식 홈페이지나 모바일앱 또는 11개 카드사 누리집을 통해 원하는 교통카드 상품을 골라 K-패스를 이용할 수 있다.

현재 부산에는 4만 5000원 이상 교통비를 썼을 경우, 초과 금액을 환급해주는 동백패스가 시행 중이다. 부산시는 이를 K패스를 융합해 시민들에게 혜택을 더 많이 주기 위해 국토부와 협의 중이다. 예를 들어 4만 5000원까지는 K패스 할인을 받고 그 이상은 할인 금액을 제외하고 동백패스로 환급해 주는 방식을 들 수 있다.

국토부는 당초 7월 시행을 목표로 K-패스 도입을 추진해 왔으나 5월부터 조기 시행하기로 했고 최소 이용횟수 조건도 월 21회에서 15회로 줄였다.

일반 시내버스나 지하철 외에도 GTX-A, 광역버스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K-패스 혜택을 제공한다. 아울러 K-패스에 참여하는 지역도 인구수가 10만명 이하인 일부 지자체를 제외한다면 사실상 전국 모든 지자체가 사업에 참여한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강희업 위원장은 “전국적으로 대중교통 요금이 인상돼 경제적 부담이 커졌으나 K-패스를 사용한다면 전국 어디에서든 교통비 부담을 획기적으로 덜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