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작년 경제 성장률 5.2% 목표 달성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4분기 GDP 전년 동기 대비↑
국제기구, 올해는 4%대 전망

중국이 ‘위드 코로나’ 원년인 지난해 경제 성장률 5.2%를 기록했다.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으로 인한 기저효과에 힘입어 당국 목표치인 ‘5% 안팎’은 달성했지만, 내수 위축, 부동산 침체, 디플레이션 등 중국 경제가 직면한 리스크는 여전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17일 2023년 중국 국내총생산(GDP)이 121조 207억 위안(약 2경 2270조 원)으로 전년 대비 5.2%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중국 경제 수장인 리창 국무원 총리가 전날(16일) 세계경제포럼(다보스포럼) 연차총회에서 “중국 경제 성장률이 당국 목표치인 ‘5% 안팎’을 충족한 5.2%에 이를 것”이라고 예고한 것과 일치하는 결과다.

블룸버그통신이 전날 발표한 성장률 예상치(5.2%)와 같은 것으로 국제통화기금(IMF·5.4%), 경제협력개발기구(OECD·5.2%), 세계은행(WB·5.1%) 등의 당초 전망치와도 대체로 부합한다.

중국의 지난해 4분기 GDP도 전년 동기 대비 5.2% 증가를 기록했다. 3분기 성장률 4.9%는 상회했지만, 로이터 통신의 시장전망치(5.3%)보다는 다소 낮았다.

분기별 성장률을 살펴보면 1분기 4.5%로 출발해 2분기(6.3%)에 고점을 찍었지만 3분기(4.9%)에 다소 주춤하다 4분기(5.2%)에 반등하는 추세다. 작년 중국 GDP 성장률은 코로나19 팬데믹 원년인 2020년(2.2%)과 후반부인 2022년(3.0%)보다는 높은 수치지만, 코로나 팬데믹 이전 성장률에 비해서는 여전히 낮은 것이다. 코로나 팬데믹 이전 중국의 성장률은 2011년 9.6%, 2012년 7.9%, 2013년 7.8%, 2014년 7.4%, 2015년 7.0%, 2016년 6.8%, 2017년 6.9%, 2018년 6.7%, 2019년 6.0% 등 6∼9%대를 보였다.

중국 GDP는 2021년에는 크게 위축된 2020년의 기저효과에 힘입어 8.4%로 깜짝 반등한 바 있다. 2022년(3.0%)의 기저효과를 감안하면 ‘위드 코로나’ 원년인 2023년의 성적표는 기대에 다소 못 미쳤다는 평가도 나온다.

국제통화기금, 경제협력개발기구, 세계은행 등 국제기구들이 올해 중국의 GDP 성장률을 4.4∼4.7%대로 전망하는 등 올해 중국 경제가 더 둔화할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국가통계국은 2023년 경제에 대해 “복잡하고 엄중한 국제환경과 대내적 어려움 속에서도 내수 확대, 경제 구조조정, 신뢰도 제고, 리스크 방지 등을 통해 경제의 안정적인 발전을 이뤄냈다”고 총평했다.

한편, 지난해 말 기준 중국 총인구는 14억 967만 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208만명이 감소했다. 중국의 인구가 감소한 것은 재작년 이후 2년 연속이다. 연합뉴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