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2035엑스포 재도전, 이르면 상반기 시민 공론화 시작

박태우 기자 wideneye@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시, 이달 중 정책연구용역 발주
2030박람회 유치 실패 등 분석

박형준 부산시장. 연합뉴스 박형준 부산시장. 연합뉴스

부산이 2035세계박람회(월드엑스포) 유치에 재도전할지 여부를 결정 지을 시민 공론화 절차가 이르면 올해 상반기 진행된다. 부산시는 시민 여론이 재도전으로 몰리면, 타당성 조사 등을 거쳐 종합적인 추진 방안을 수립한 뒤 ‘2035 부산월드엑스포’가 국가사업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총력을 쏟겠다는 계획이다.

31일 부산시에 따르면 시는 2035년 엑스포 부산 유치 추진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사전절차로, 이달 중 부산연구원에 정책연구용역 과제를 발주할 계획이다. 부산연구원은 2030엑스포 유치 과정 전반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성과와 패인 등을 심층 분석할 예정이다. 엑스포 재도전 여부의 결정적 요인이 될 시민 의견 수렴을 위한 숙의 공론화 방안도 수립한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지난해 11월 2030엑스포 유치가 무산된 직후 “2035년 엑스포 유치 도전은 합리적 검토와 시민들의 뜻을 묻는 공론화 과정을 거쳐 결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지역 상공계를 중심으로 시민사회에서는 “엑스포 유치 실패 원인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거쳐 반드시 재도전에 나서야 한다”는 여론이 비등한 상황이다.

시는 공론화 방안이 설계되는 대로 이르면 올해 상반기에 시민 의견 수렴에 들어간다는 방침이다. 공론화는 전문가 정책토론회와 시민사회 의견 청취 등을 거쳐 대시민 여론조사를 통해 최종 결정하는 방식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시는 시민 의견이 재도전으로 모이면 외부 전문연구기관을 통해 엑스포 기본계획 수립과 타당성 조사 연구용역을 진행할 계획이다. 용역에서는 엑스포 유치에 따른 정책 효과와 경제성 분석, 유치 가능성 등 전반을 다룰 예정인데, 최종 연구 결과가 나오기까지는 최소 1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시는 연구가 마무리되면 용역 결과를 토대로 추진 방안과 전략을 마련하고, 2035엑스포 유치가 국가사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정부와 정치권을 상대로 설득에 나설 계획이다. 국제박람회기구는 2년 뒤인 2026년부터 전 세계 도시들로부터 2035엑스포 유치 신청서를 접수한다. 시는 엑스포 도전 과정 전반 등을 담은 ‘2030엑스포 유치 백서’도 발간한다.


박태우 기자 wideneye@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