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율 최저라면서… 남성 육아휴직 분위기 언제 바뀌나

이해원 kooknote@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모의 삶의 질, 자녀의 삶의 질로 이어져
육아부담 감소 등 만족도 높지만… "승진 불이익 우려"

예비 아빠가 아기띠를 체험하는 모습. 연합뉴스 예비 아빠가 아기띠를 체험하는 모습. 연합뉴스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인구 동향 조사 출생·사망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합계 출산율은 0.72명으로 전년 대비(0.78명) 8%가량 떨어진 상황이다.

정부에서는 저출산 대책에 대한 답으로 파격적인 당근책들을 내놓고 있지만, 실제로 노동자들은 육아휴직조차 쉽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남성들은 육아휴직 사용에 있어 '인사고과나 승진 등에서의 불이익 우려'를 가장 큰 걸림돌로 꼽았다.

민주노동연구원은 6일 '남성 노동자의 육아휴직 사용 격차와 차별' 보고서에서 육아휴직을 경험한 남성 노동자 1720명(비조합원 853명)을 대상으로 지난 1∼2월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소개했다.

육아휴직 사용대상자 설문조사임에도 응답자의 71%는 다니는 회사에서 남성이든 여성이든 육아휴직 신청에 눈치가 보이며, 아예 신청이 어렵다고 답했다.

고용노동부 통계에 따르면 실제 육아휴직자 중 남성 비중은 2016년 8.7%에서 2022년 28.9%까지 빠르게 늘었다가 지난해 28.0%로 오히려 소폭 줄었다.

이번 설문조사에서는 복수응답으로 '남성 노동자의 육아휴직 사용률이 낮은 이유'로 '인사고과, 승진 등 인사상 불이익을 받을 우려'(85%)라고 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다.

이어 △휴직기간 중 소득 감소(80%) △회사에서 육아휴직 사용을 부정적으로 보기 때문에(76%) △육아는 여성의 몫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66.0%) △사직 권고 및 구조조정 우선순위에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58%) 등도 주된 이유로 꼽혔다.

육아휴직을 사용하고 복귀한 후 가장 힘든 점도 '고과, 승진 등 직장 내 경쟁력 약화'(33%)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또 △자리 유지 및 배치전환 걱정(20%) △사직 권고 및 구조조정 우선순위(5%)라는 응답까지 포함하면 59%가 육아휴직에 따른 불이익을 걱정했다.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육아휴직 사용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다.

긍정적인 요소는 △육아부담 감소 △가사 분담 갈등 감소 △자녀와의 친밀도 강화 △부부간 의사소통 등 가족관계에 도움 등 대부분의 항목에서 90% 이상이 긍정적인 답변을 했다.

남성 육아휴직 활성화를 위한 우선 과제로는 △남녀가 함께 육아를 분담하는 사업장 구성원의 인식 변화'(71%) △승진·해고 등 인사상 불이익과 차별 금지(70%) △임금 삭감 없는 육아휴직 급여 지급(67%) 등이 거론됐다.

민주노동연구원은 "육아휴직 사용 격차는 부모의 삶의 질만이 아니라 자녀들의 삶의 질 격차로 이어지고 저출생, 사회불평등과도 이어진다"며 생애주기별 돌봄 정책과 돌봄 공공성이 강화된 시스템이 갖춰져야 남성 육아휴직도 보편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해원 kooknote@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