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60곳 가까이 대혼전… 여 ‘반전 계기’ 부심, 야 ‘막판 악재’ 고심
야권 우세 분위기 속 주말 유세전
정권 심판론·범죄 심판론 맞대결
국힘, 반성·사과 앞세워 표심 읍소
민주, 부동산 의혹 등 역풍 조바심
4·10 총선을 앞두고 최근 제1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여당인 국민의힘보다 다소 우위에 있는 듯한 흐름이 각종 여론조사에서 일관되게 관측되지만, 전체 254개 지역구 중 60곳 가까이 경합 지역으로 분류돼 최종 승부를 점치기는 이르다. 반전의 돌파구를 마련해야 하는 국민의힘은 ‘이·조(이재명·조국) 심판론’을 앞세우면서 “한 번만 기회를 달라”는 읍소에 나섰고, 민주당은 ‘정권 심판론’ 확산에 열을 올리는 동시에 당 소속 양문석 후보 등의 부동산 문제 등 막판 악재 관리에 부심한 모습이다.
이와 관련, 31일 현재 국민의힘은 전체 254개 지역구 가운데 ‘74∼82곳’, 더불어민주당은 ‘110곳+알파’에서 승리를 예상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양당 후보 간 접전이 예상되는 ‘경합’ 지역 분류에서는 국민의힘이 50곳, 민주당이 60여 곳 안팎으로 판단하고 있다. 전체 지역구의 25%에서 양당 모두 승리를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남은 9일간 여야의 선거전과 ‘의정 갈등’, 부동산 문제 등 일부 후보자들의 자질 논란, 돌출성 막말 등 변수에 따라 원내 1당의 자리가 정해질 전망이다.
이른바 ‘용산발 리스크’로 야당이 내세운 정권 심판론이 힘을 받으면서 위기감이 커진 국민의힘은 31일 ‘반성’과 ‘대국민 읍소’를 이어갔다.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경기 성남 분당과 용인 유세에서 “여러분이 국민의힘과 정부에 부족한 게 있다고 할 것 같다. 저도 인정한다”며 “그런데 중요한 차이는 여러분의 지적에 반응하고 반성하고 고치려고 하느냐, 아니냐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야권을 겨냥해 “저 사람들이 200석으로 뭘 하겠다는 것이냐. 그냥 권력을 바꾸는 게 아니라 대한민국 체제를 바꾸고 대한민국 헌법에서 ‘자유’라는 말을 떼내겠다는 것”이라며 “여러분은 그걸 허락할 것이냐”라고 ‘의회 독주’의 위기감을 확산하는 데 주력했다.
경남 김해을 국민의힘 후보인 조해진 의원은 이날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국민을 실망시킨 것, 국민을 분노하게 한 것을 사과해야 한다”고 공개 사과를 요구했다. 그는 대통령실과 내각의 즉각적인 총사퇴와 원내 1당이 되지 못할 경우 22대 당선자 전원의 의원직 총사퇴 선언 등을 요구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 한 위원장은 1일 ‘낙동강 벨트’를 중심으로 여야가 치열하게 격돌하고 있는 부산·경남을 다시 방문한다.
반면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여권의 호소전에 대해 “악어의 눈물, 이번에 속으면 안 된다”며 보수 결집과 내부의 낙관론을 경계하고 나섰다. 그는 이날 유튜브 방송에서 “(국민의힘에서) 참패할 것 같다, 이런 소리도 나오는 것 같고 다 엄살”이라며 “지금까지 수없이 반성한다, 잘못했다 그래 놓고 한 번도 바꾼 일이 없다. 또 다른 대국민 사기 행위”라고 혹평했다. 그러면서 “속으면 안 된다. 정말로 다급한 건 우리”라며 “그들이 과반수를 차지하거나 국회 1당이 되면 심판은커녕 그들에게 날개를 달아주는 꼴이 될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민주당에게 현재 발등의 불은 일부 후보들의 부동산 의혹이다. 공영운(경기 화성을) 후보가 군 복무 중인 아들에 서울 성수동 주택을 증여했다는 ‘아빠 찬스’ 논란에 이어 양문석(경기 안산갑) 후보는 대학생 딸 명의로 11억 원을 대출받아 잠원동 아파트를 산 ‘편법 대출’ 의혹에 휩싸인 상황이다.
일단 민주당은 당 차원의 공식 대응 없이 후보 개인이 대응할 문제라며 여론의 추이를 살펴보는 분위기지만, 물밑에선 노심초사하는 기류가 역력하다.여당을 비롯한 정치권의 공세로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다’는 거센 비판이 제기되면서 자칫 총선에서 정권 심판론 구도를 흐리게 만드는 역풍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없지 않다. 특히 양 후보의 경우, 딸 명의로 대출받은 새마을금고에서 대출 과정 전반에 대한 현장검사를 예고한 상황이어서 이 과정에서 사건이 확대될 여지도 있다.
전창훈 기자 jch@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