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회발전특구, 부산은 금융·블록체인 핀테크 신청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산업은행 중심 20개 기업서 투자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2024년 부산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운영위원회'가 지난 7일 오부 부산 동구 부산역 유라시아플랫폼에서 열렸다. 이재찬 기자 chan@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2024년 부산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운영위원회'가 지난 7일 오부 부산 동구 부산역 유라시아플랫폼에서 열렸다. 이재찬 기자 chan@

부산과 대구, 전남, 경북 등 4개 지자체가 1분기에 기회발전특구를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은 금융기업과 블록체인 핀테크 기업을 중심으로 신청했으며 산업은행이 앵커기업(대표기업)으로 포함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월 말 기준 부산 등 4개 지자체로부터 1분기 기회발전특구 지정 신청이 접수됐다”며 “이들 지역을 대상으로 검토를 마치고 지방시대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 조속한 시일 내 기회발전특구 지정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31일 말했다. 부산시는 1분기 신청 마지막 날인 지난달 29일에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에 대구는 엘앤에프, SK(주) C&C의 이차전지 양극재 공장,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등 신규 투자를 담은 기회발전특구를 신청했으며 전남과 경북도 이차전지 반도체웨이퍼 공장 등 신규 투자를 바탕으로 한 기회발전특구를 신청했다.

부산은 금융기업을 중심으로 문현금융단지와 북항2단계 재개발지에 기회발전특구를 만들겠다는 내용으로 신청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블록체인 핀테크 기업들과 함께 산업은행이 특구로 이전하는 내용을 담아 지정 신청을 했다”며 “우선적으로 20개 기업 정도가 특구에 투자하겠다는 내용을 담았다”고 말했다.

기회발전특구는 지방에 기업의 대규모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세제·재정 지원, 규제특례, 정주여건 개선 등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구역을 말한다. 지방정부가 투자 예정 기업과 협의해 입지를 선정하면 지방시대위원회에서 심의·의결 후 산업부장관이 지정한다. 부산은 올해 금융기회발전특구 지정을 시작으로 전력반도체, 이차전지·모빌리티 등으로 특구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