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한 표가 부울경 미래 바꾼다 [미래 위한 선택 4·10]
국힘, 부산 13곳 승리 가능 전망
경남 13곳·울산 5곳 우세 분류
민주, 부산 9곳 승부처로 거론
경남 6곳·울산 2곳 우세 예상
여야 PK 판세 분석 크게 엇갈려
지지층 투표율이 결과 좌우할 듯
4·10 총선을 하루 앞둔 9일까지도 부산·울산·경남(PK) 여야가 모두 ‘경합’으로 분류하거나 서로 ‘우세’로 판단한 지역이 전체 40곳 중 12곳에 달했다. 각 당의 기대치를 반영한 분석임에도 승패를 예단하기 어려운 곳이 30%에 이른다는 것이다.
표면적인 분위기만 보면 더불어민주당이 보수가 줄곧 독식해온 동부산, 서부경남까지 ‘접전지’라고 할 정도로 이례적인 자신감을 보이지만, 국민의힘은 4년 전 ‘코로나19’ 상황에서도 PK에서 의석수를 늘린 보수 지지층의 막판 결집력에 기대를 걸고 있다. 결국 ‘정권 심판론’을 끝까지 밀어붙이겠다는 야당 지지층과 ‘국정 안정’을 위해 과도한 야당 쏠림은 피해야 한다는 여당 지지층 중 어느 쪽이 보다 적극적으로 10일 투표장으로 향하는가에 따라 이번 총선 최대 관심사인 ‘PK 대전’의 향배가 결정될 전망이다.
9일 <부산일보>가 여야로부터 제공 받은 마지막 PK 판세 분석 결과는 크게 엇갈렸다. 일단 부산 국민의힘은 종전 목표였던 ‘전석 석권’ 대신 우세 6곳(금정 동래 부산진을 서동 사하을 사상), 경합 우세 7곳(기장 해운대갑 해운대을 남 중영도 강서 북을) 등 13곳을 승리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 분류했다. 반면 부산 민주당은 우세 4곳(북갑 사하갑 해운대갑 연제), 경합 우세 5곳(강서 북을 부산진갑 수영 남) 등 9곳을 승부처로 거론했다.
양당 분석에서 우열이 비교적 선명한 곳은 5곳으로, 서동 사하을 금정 3곳은 여야 모두 ‘여당 우세’로 인정했고, 사하갑과 진보당 노정현 후보가 야권단일후보로 나선 연제에 대해서는 민주당은 우세, 국민의힘은 경합 열세로 엇비슷한 시각을 보였다. 나머지 중 여야가 공통으로 경합(경합 우세·경합 열세 포함)으로 분류한 지역만 8곳(강서 북을 부산진갑 수영 남 중영도 해운대을 기장)이었다.
민주당으로서는 국민의힘이 열세로 여기는 두 지역을 제외하고 경합 지역에서 반만 이겨도 역대 최대 의석수를 차지하게 된다. 반면 국민의힘은 우세 6곳에 경합 지역 9곳에서 승리해야 4년 전 의석수를 지킬 수 있다. 부산 여권 내에서는 “현재 분위기라면 기존 의석수를 지키는 것 만으로도 선방”이라는 말이 나오고, 민주당 한 후보는 “보수적으로 잡아도 현재 3석에서 2~3석 늘어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경남 지역 여야의 판세 예측은 ‘극과 극’이었다. 국민의힘은 전체 16곳 중 김해갑, 김해을, 양산을 3곳만 경합 지역으로 판단했을 뿐 13곳을 우세로 분류했다. 반면 민주당은 김해갑, 김해을, 양산을과 함께 거제, 창원진해, 창원성산 등 6곳을 우세로 봤고, 창원의창, 양산갑, 진주갑 3곳까지 경합 우세로 꼽았다. 민주당이 경합 열세로 분류한 2곳(밀양의령함안창녕, 산청함양거창합천)을 제외하고는 양측의 접점이 없는 셈이다.
최근 여론조사에서 오차범위 내 접전 양상인 거제, 창원진해 등을 우세로 분류한 국민의힘이나 별다른 근거 없이 서부 경남지역을 경합 우세로 판단한 민주당이나 다분히 희망 섞인 관측을 내놓은 것으로 여겨진다. 민주당이 우세와 경합 우세로 꼽은 9곳의 승부에서 경남 총선의 윤곽이 가려질 전망이다. 울산의 경우, 국민의힘은 전체 6석 중 ‘진보 성지’인 북구만 경합으로 꼽았을 뿐, 나머지 5곳은 우세로 봤다. 반면 민주당은 북구와 함께 동구도 우세로, 남갑 남을 울주군 3곳은 경합으로, 중구 한 곳만 경합 열세로 분류했다.
PK 사정에 밝은 한 여론조사 전문가는 “민주당이 기세가 전례 없이 강하지만, 과거 투표 행태, 연령대별 투표율 차이를 감안하면 여론조사보다 보수표가 3~4% 가량 더 있다고 봐야할 것”이라면서도 “워낙 접전지가 넓게 퍼져 야당이 ‘대박’을 낼지, 여당이 현 수준을 유지할지는 정말 투표함을 깨봐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제22대 국회의원 선거가 10일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전국 1만 4259개 투표소에서 일제히 진행된다. 유권자는 반드시 지정된 투표소에서 투표해야 하며 신분증(모바일 신분증 포함)을 가지고 가야 한다.
전창훈 기자 jch@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