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부산 분리매각, 말도 안 섞는 대한항공
LCC 본사 부산 유지 방안 등
박 시장 나섰으나 무대응 일관
산업은행·국토부도 난색 표명
10월 중 항공사 합병 마무리 땐
거점 항공사 인천에 넘겨줄 판
가덕신공항 조기 안착 차질 우려
지역 거점 항공사인 에어부산의 부산 존치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부산시의 지속적인 협상 요청에 인수자인 대한항공이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다. 지역 상공계와 시민사회의 들끓는 여론에 박형준 부산시장이 문제 해결의 전면에 나섰지만, ‘키’를 쥔 대한항공이 논의 자체를 봉쇄하면서 대한항공의 부산 무시가 도를 넘은 것 아니냐는 비판이 거세다.
13일 부산시에 따르면 시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합병에 따른 자회사 에어부산의 부산 존치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대한항공 측에 지속적으로 회동을 요청하고 있다. 시는 양대 항공사 합병 후 통합 LCC(저비용 항공사) 본사를 부산에 두는 방안과 상공계를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는 에어부산의 아시아나항공 분리매각 방안, 두 가지를 협상 카드로 제시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시는 김광회 미래혁신부시장을 중심으로 국토교통부와 산업은행 등을 통해 수차례 이 같은 뜻을 대한항공에 전달했지만, 번번이 무산됐다. 대한항공 측은 “아시아나와의 합병을 위한 해외 경쟁당국의 기업결합 심사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분리매각안 등이 논의되면 심사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이유로 시의 요구에 선을 긋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 시장이 지난 5월 국토부와 산은 등에 에어부산 분리매각을 적극 요청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하는 등 문제 해결의 전면에 나섰고, 시와 정치권, 상공계, 시민 사회가 별도의 태스크포스(TF)를 꾸려 총력 대응에 돌입했지만, 인수 주체인 대한항공의 무대응에 대답 없는 공허한 메아리가 되고 있다.
에어부산 부산 존치를 둘러싼 주변 여건도 여의치 않다. 통합 LCC 본사 소재지는 이미 2022년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이 “진에어를 브랜드로, 인천국제공항을 허브로 운항하겠다”고 못을 박았다. 아시아나항공 채권단인 산업은행도 에어부산 분리매각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국토부는 기업 간 합병은 민간 영역의 문제라는 점을 내세워 좀처럼 전면에 나서지 않고 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결합 심사는 마지막 국가인 미국의 승인을 끝으로 이르면 10월 중 마무리될 예정이다. 이대로 가다가는 시가 에어부산 존치 요구안을 제대로 꺼내보지도 못하고 거점 항공사를 인천에 넘겨주고 말 것이라는 위기감이 지역 사회에서 팽배한 실정이다.
모기업 항공사가 100% 출자한 진에어, 에어서울과 달리 에어부산은 부산에 거점 항공사를 두기 위해 아시아나항공과 부산 상공계가 공동 출자해 만들었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경영난이 가중되자 시가 100억 원이 넘는 혈세를 투입하기도 했다.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 890억 원을 내면서 국내 LCC 중 최고 ‘알짜 기업’으로 꼽힌다. 무엇보다 에어부산이 부산을 떠나게 되면 거점 항공사인 에어부산을 아시아·태평양 지역 대표 중견 항공사로 키워 2029년 개항하는 가덕신공항을 조기에 활성화시키겠다는 시의 계획도 큰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지역을 기반으로 성장해 온 에어부산의 특수성과 가덕신공항 조기 안착, 지역균형발전 등 여러 측면을 감안해 정부와 정치권이 에어부산 부산 존치에 보다 전향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김 부시장은 “가덕신공항을 남부권 거점공항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대형 항공사는 인천, 통합 LCC는 부산에 본사를 둬야 한다는 시의 요구가 관철되도록 정부, 산업은행, 대한항공 등에 적극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박태우 기자 wideneye@busan.com